7월 취업자 증가폭 21만명 불과

2023.08.09 09:42:06

 

[영등포신문=나재희 기자]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일용직 일자리가 줄면서 취업자 수 증가 폭이 큰 폭으로 둔화했다. 경기 영향을 받는 제조업·건설업 취업자 수의 감소세도 이어졌다.

 

통계청이 9일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868만6천 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21만1천 명 늘었다. 올해 들어 30만∼40만 명 안팎을 유지했던 증가 폭이 20만 명 선으로 크게 둔화한 것이다.

 

증가 폭은 4개월 연속으로 줄면서, 취업자 수가 47만3천 명 감소한 지난 2021년 2월 이후로 29개월만의 최소 폭을 기록했다.

 

통계청은 집중호우와 맞물려 건설·농림분야에서 일용직 감소세가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는 51만3천 명 증가했으나, 일용근로자는 18만8천 명, 임시근로자는 14만4천 명 각각 감소했다.

 

일용직 근로자는 23만2천 명 감소한 2021년 1월 이후로 최대 폭으로 줄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29만8천 명 늘었다. 60세 이상을 제외한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취업자 수가 8만7천 명 감소했다.

 

청년층(15∼29세)에서 13만8천 명, 40대에서 6만1천 명 각각 감소했다. 청년층은 9개월째, 40대는 13개월째 취업자가 줄어든 것이다.

 

산업별로는 제조업(-3만5천 명), 건설업(-4만3천 명)에서 각각 7개월, 8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다. 농림어업 취업자 수도 4만2천 명 줄었다.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14만5천 명), 숙박·음식점업(12만5천 명) 등에서는 늘었다.

 

기상 여건 악화에 주 36시간 이상 취업자 수도 28만5천 명 감소했다. 조사 대상인 기간에 집중호우가 내리면서 취업 시간이 줄었다.

 

주 36시간 미만 취업자는 47만9천 명 늘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590만7천 명으로 4만 명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쉬었음(11만6천 명) 등에서 늘었지만, 육아(-12만9천 명), 가사(-2만1천 명) 등에서 줄었다.

 

취업준비자는 8만1천명 감소했다. 구직단념자는 5만7천 명 줄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3.2%로 1년 전보다 0.3%포인트 높아졌다. 1982년 7월 월간통계가 작성된 이후로 같은 달 기준 가장 높은 수치다.

 

청년층 고용률이 47.0%로 0.7%포인트 낮아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0.5%포인트 높아진 69.6%로 관련 통계가 작성된 1989년 이후 동월 기준 최고치다.

 

실업자는 80만7천 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만명 감소했다. 실업자 수는 2012년 7월 80만3천 명 이후 동월 기준으로 가장 적었다.

 

실업률은 2.7%로 0.2%포인트 하락했다.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9년 6월 이후로, 동월 기준 최저치다.

 

통계청 서운주 사회통계국장은 "돌봄 수요와 외부 활동 증가 등으로 취업자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집중 호우와 건설 경기 등의 영향으로 증가 폭은 전월에 비해 축소됐다"고 말했다.

 



Copyright @2015 영등포신문 Corp. All rights reserved.

PC버전으로 보기

사업자등록번호 : 107-81-58030 / 영등포방송 : 등록번호 : 서울아0053 /www.ybstv.net /발행처 : 주식회사 시사연합 / 발행인 겸 대표이사 김용숙
150-804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로 139 (당산동3가 387-1) 장한빌딩 4층 / 전화 02)2632-8151∼3 / 팩스 02)2632-7584 / 이메일 ydpnews@naver.com
영등포신문·영등포방송·월간 영등포포커스·(주)시사연합 / 본 사이트에 게재된 모든 기사는 (주)시사연합의 승인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