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신문=나재희 기자] 북한이 오는 10일 노동당 창건 80주년을 맞아 중국과 러시아 등의 고위급 인사가 참석한 가운데 대규모 열병식을 개최한다.
지난달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을 계기로 베이징에서 뭉쳤던 북중러 3국이 한 달여 만에 평양으로 무대를 바꿔 다시 연대를 과시할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대미·대남 메시지가 있을지도 주목되며,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화성-20형 등이 열병식에서 공개될지, 김 위원장의 방중에 동행했던 딸 주애가 외빈들 앞에 모습을 드러낼 지도 관심을 끈다.
◇ 베이징→평양으로 무대 옮긴 '북중러 3국 연대'
복수의 정부 소식통은 8일 "북한이 수만 명 규모로 열병식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북한에서 열병식이 열리는 건 2023년 9월 정권수립 75주년 계기 이후 2년여만이다.
북한은 기념일 당일이나 전날 저녁에 열병식을 개최해 왔는데, 10일 평양에 비가 예보돼 있어 9일에 열병식이 개최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북한은 해외 고위인사들을 초청해 대규모 국제행사로 열병식을 준비하고 있다.
중국에선 권력 서열 2위인 리창 국무원 총리, 러시아에선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최측근인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국가안보회의 부의장 겸 통합러시아당 의장이 참석할 예정이다.
김 위원장은 열병식에서 이들과 나란히 서며 북중러 3국 연대를 과시할 가능성이 크다. 지난달 3일 베이징에서 열린 중국 전승절 80주년 열병식에서 시진핑 주석 양옆에 김 위원장과 푸틴 대통령이 선 것과 비슷한 모습이 재현될 수 있는 것이다.
두진호 한국국가전략연구원 유라시아센터장은 "러시아와 중국이 각국 서열 2위를 파견해 북중러 연대의 실질적 이행 의지를 보여줬다"며 "북한은 이들의 방북을 계기로 자신의 핵보유국 지위를 재확인하고 향후 개최될 수 있는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동맹국의 지지를 확보하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국가의 귀빈들도 평양에 속속 도착하고 있다.
통룬 시술릿 라오스 국가주석이 전날 도착해 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했고, 니카라과의 브렌다 로차 선거관리위원장, 발테르 소렌치누 브라질 공산당 전국부위원장, 녜수에 멩게 적도기니 민주당 제1부총비서 등도 평양에 당도했다.
베트남 1인자인 또 럼 공산당 서기장도 방북할 예정이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이 사회주의 연대를 통해 대미·대한 외교적 압박에 대응하려는 전략"이라며 "중국, 러시아와 함께 미국을 견제하는 다극화 질서 구축에 일익을 담당하려는 의도"라고 분석했다.
◇ 김정은 대미 메시지 나올까…전략무기 공개 주목
김정은 위원장이 열병식에서 연설할지, 한다면 미국을 향해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도 주목된다.
김 위원장은 2020년 이후 열린 7번의 열병식 중에서 2020년 10월 노동당 창건 75주년, 2022년 4월 조선인민혁명군 창건 90주년 계기 등 두 차례 연설했다.
최근 3번의 열병식에선 연설하지 않았지만, 해외 귀빈까지 참석하는만큼 이번엔 연설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 말 방한할 예정인 가운데 미국이 '조건 없는 대화'를 제안해 북미 간 대화 가능성까지 제기되고는 있지만, 열병식 행사의 특성상 김정은 연설은 대화보다는 대립에 방점이 찍힐 가능성이 크다는 관측이 나온다.
열병식에 등장할 무기도 관심이다. 북한은 2018년 2월 건군절 70주년 때 ICBM 화성-14형과 화성-15형, 2023년 2월 건군절 75주년 때는 화성-18형을 각각 선보이는 등 열병식을 '신무기 쇼케이스'의 기회로 활용해왔다.
북한은 최근 신형 대출력 고체엔진이 장착될 신형 ICBM 화성-20형을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는데, 열병식에서 이를 공개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김 위원장의 딸 주애가 열병식에 모습을 보일지도 주목된다.
주애는 지난달 아버지의 방중에 동행하면서 후계자설에 힘이 실렸지만, 베이징에 도착할 때 외엔 모습이 전혀 포착되지 않았다.
사업자등록번호 : 107-81-58030 / 영등포방송 : 등록번호 : 서울아0053 /www.ybstv.net /발행처 : 주식회사 시사연합 / 발행인 겸 대표이사 김용숙
150-804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로 139 (당산동3가 387-1) 장한빌딩 4층 / 전화 02)2632-8151∼3 / 팩스 02)2632-7584 / 이메일 ydpnews@naver.com
영등포신문·영등포방송·월간 영등포포커스·(주)시사연합 / 본 사이트에 게재된 모든 기사는 (주)시사연합의 승인 없이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