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행정

국민연금 월 200만 원 이상 수급자 4만 명 돌파

  • 등록 2024.10.16 15:05:14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국민연금공단 영등포지사(지사장 김종수)는 올해 6월말 기준 국민연금을 매월 200만 원 이상 받는 사람이 처음으로 4만 명을 넘어섰다고 17일 밝혔다.

 

매월 200만 원 이상 받는 사람은 작년 말 17,810명이었으나, 6개월 사이 23,758명이 늘어난 41,568명을 기록했다. 200만 원 이상 받는 사람 중 남성은 40,840명(98.2%), 여성은 728명(1.8%)으로 남성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매월 100만 원 이상 받는 사람도 작년 말 687,183명에서 811,991명으로 6개월 사이 124,808명이 늘어나 80만명을 넘어섰다. 이 중 남성은 769,407명(94.8%), 여성은 42,584명(5.2%)이었다.

 

이처럼 고액 연금수급자가 늘어난 이유는 1988년 국민연금제도가 처음 시행했을 때부터 가입한 베이비부머가 본격적으로 은퇴하며 연금을 받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국민연금 최고액은 월 2,893,550원(노령연금)이었으며, 장애연금 최고액은 2,308,390원, 유족연금은 1,484,120원이었다. 노령연금 평균연금액은 59만4천 원이며, 20년 이상 가입한 사람의 평균연금액은 108만 원에 달했다.

 

매월 국민연금을 받고 있는 사람은 2003년 100만 명을 넘은 이후 2012년 300만 명, 2020년 500만 명 등 꾸준히 증가해 올해 6월에는 총 678만 명이 연금을 받고 있다. 이 중 노령연금을 받는 사람은 570만명이며, 유족연금 101만명, 장애연금은 7만명이 연금을 받고 있다.

 

한편, 영등포구민 중 연금을 받고 있는 사람은 총 43,343명이며 공단은 연금액으로 매월 251억 원을 지급하고 있다. 구민 중 최고액 수급자는 월 271만 원을 받고 있으며, 최고령자는 올해 100세인 유족연금 수급자이다. 1인당 월평균 지급액은 66만3천 원으로 전국 평균(59만4천 원) 대비 7만 원 가량 높은 수치이다.

 

김종수 국민연금공단 영등포지사장은 “국민연금은 가입기간과 소득에 비례하여 연금액이 늘어난다”며 “반환일시금 반납이나 보험료 추후납부 제도 등을 활용해 연금액을 높임으로써 안정적인 노후를 준비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대한교통장애인사랑나눔협회, 따뜻한 한방 삼계탕 나눔 행사

[영등포신문=장남선 시민기자] 대한교통장애인사랑나눔협회(회장 이계설)는 지난 7월 2일, 무더위를 이겨내기 위한 ‘삼계탕 나눔 행사’를 개최하고 한방 삼계탕 100그릇을 정성껏 준비해 교통장애인들에게 전달했다. 이번 행사는 단순한 음식 제공을 넘어, 교통사고로 인해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들에게 “당신은 결코 사회로부터 떨어져 있는 존재가 아니다”라는 따뜻한 메시지를 전하고자 마련됐다. 이계설 회장은 “경제적인 후원도 중요하지만, 우리 협회는 교통 장애인분들이 사회와의 연결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 데 더 큰 의미를 둔다”며 “작은 식사 한 그릇이지만, 그것이 단절이 아닌 연대의 상징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협회는 평소에도 지속적인 생필품 후원과 교통약자를 위한 캠페인, 안전교육 등을 통해 교통 장애인의 권익 보호와 인식 개선에 힘쓰고 있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류○○(56)씨는 “교통사고 이후 외부 활동이 줄어들면서 사람들과의 교류도 많이 끊겼다”며, “이렇게 따뜻하게 맞아주고, 함께 식사를 나눌 수 있어 정말 오랜만에 사람다운 기분이 들었다”고 말했다. 대한교통장애인사랑나눔협회는 앞으로도 지역 사회 내에서 소외된 이웃들과의 연대를 강화하고,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