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행정

영등포구, 구립 다중이용시설 294곳 ‘코로나 휴관’ 연장

  • 등록 2020.02.21 08:52:28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영등포구가 코로나19 지역사회 감염 확산에 따라, 구립 다중이용시설 294곳 휴관을 당초 2월 23일까지에서 ‘별도 안내 시’까지로 잠정 연장한다.

 

코로나19 관련 국내 확진자는 20일 오후 4시 기준 총 104명으로, 하루 새 53명이 증가하고 첫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지역사회 감염의 위험이 커지고 있다.

 

이에 구는 강력한 방역대응만이 상황을 타개할 수 있다고 판단, 주민의 생명과 안전을 최우선으로 두고 휴관일을 연장하며 상황에 발 빠르게 대처하는 것이다.

 

우선 보육 시설인 맘든든센터 4개소, 장난감도서관 3개소, 열린육아방 5개소, 시간제보육시설은 별도 안내 시까지 운영중단을 연장한다. 다만, 어린이집 248개소는 지난 17일부터 자율 등원 중으로, 3월 신학기에 대비해 어린이 안전에 각별히 신경 쓰고 있다.

 

 

구립 도서관 4개소, 공립 작은 도서관 21개소, 청소년 독서실 11개소를 포함, 영등포문화원, 영등포문화재단 등의 교육․문화시설도 별도 안내할 때까지 휴관을 연장한다.

 

또한 영등포제1․2스포츠센터, 클라이밍경기장, 배드민턴체육관 및 대림운동장 등 구립 체육시설 5개소와 18개 동주민센터에서 운영하는 자치회관 프로그램 166개, 체력 단련실 17개소도 운영을 잠정 연기한다.

 

장애인사랑나눔의집, 시립영등포장애인복지관, 영등포종합사회복지관, 신길종합사회복지관 등 복지시설도 운영이 중단된다. 경로당 167개소와 더불어 영등포노인종합복지관, 50플러스센터 등 어르신 복지시설 36개소도 별도 안내 시까지 휴관 연장 조치에 들어간다.

 

구는 향후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되는 대로 시설 운영을 재개할 예정이며, 휴관 종료 시 구 홈페이지(www.ydp.go.kr), 구 소식지, SNS, 문자메시지, 보도자료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이를 알려 주민의 불편함이 없도록 신속 대응한다.

 

채현일 구청장은 “따뜻한 봄과 함께 코로나19가 소강상태로 접어들길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며 “더 철저한 방역체계와 더 강력한 대응태세로 구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겠다”고 말했다.

 

가자 휴전협상 철군 문제로 또다시 난항…배급소 참상 되풀이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1년 9개월 넘게 이어지고 있는 전쟁을 멈추기 위한 휴전 협상이 이스라엘군의 철군 문제를 놓고 또다시 교착상태에 빠졌다. 하마스와 이스라엘이 휴전 협상 난항의 원인으로 서로를 지목하고 있는 가운데 가자지구의 참상도 되풀이되고 있다. 12일(현지시간) 로이터, AFP 통신 등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제안한 '60일간 휴전'을 위한 양측간 논의가 좀처럼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카타르 도하에서 열리고 있는 휴전 협상 내용에 정통한 소식통에 따르면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이스라엘군의 철군 범위를 놓고 대립하고 있다. 이스라엘은 남부 라파 등 가자지구의 약 40%에 달하는 지역을 자국의 통제하에 두고 나머지 지역에서만 군대를 철수하겠다고 제안했지만, 하마스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으면서 협상이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마스는 가자지구의 절반가량을 사실상 점령하고 주민들을 강제 이주하도록 한 이스라엘의 이런 제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며, 지난 1월 휴전 당시 수준의 철군을 요구하고 있다. 종전 보장과 원조 문제도 협상 타결을 어렵게 하고 있다. 하마스는 남은 인질들을 석방하기 전 종전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