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7 (금)

  • 맑음동두천 12.7℃
  • 흐림강릉 14.6℃
  • 맑음서울 14.1℃
  • 맑음대전 13.3℃
  • 맑음대구 12.5℃
  • 맑음울산 14.5℃
  • 맑음광주 14.6℃
  • 맑음부산 15.8℃
  • 맑음고창 10.2℃
  • 맑음제주 17.4℃
  • 구름조금강화 13.0℃
  • 맑음보은 9.3℃
  • 맑음금산 9.5℃
  • 맑음강진군 11.2℃
  • 맑음경주시 9.1℃
  • 구름조금거제 16.3℃
기상청 제공

종합

송세라, 펜싱 세계선수권 에페 우승

  • 등록 2022.07.19 11:10:20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이집트 카이로에서 열린 펜싱 세계선수권대회 에페 종목에 출전한 송세라(29·부산광역시청)가 한국 선수로는 20년 만에 정상에 올랐다.

 

송세라는 19일(한국시간) 여자 에페 결승전에서 알렉산드라 은돌로(독일)를 11-10으로 따돌려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송세라는 2002년 현희 이후 20년 만이자 사상 두 번째로 한국 펜싱에 세계선수권대회 에페 종목 금메달을 안긴 선수가 됐다. 에페 종목 입상은 2015년 남자부 정승화의 동메달 이후 7년 만이다.

 

전 종목을 통틀어 한국 여자 선수의 세계선수권대회 개인전 우승도 현희에 이어 송세라가 역대 두 번째다.

 

 

송세라는 지난해 도쿄올림픽 한국 여자 에페 단체전 은메달 멤버로 올해 2월 바르셀로나 월드컵 금메달, 카이로 국제그랑프리대회 동메달 등 국제무대 개인전에서 상승세를 이어왔다.

 

송세라는 이번 대회 32강전에서 율리아 스비스치우(브라질), 16강전에서 에스테르 무허리(헝가리)를 각각 15-10, 15-9로 꺾었으며, 8강전에선 주밍예(중국)에게 14-13으로 승리했다.

 

준결승전에서 비비안 콩(홍콩)을 14-9로 제압한 뒤, 결승전에서 은돌로와 연장 접전 끝에 한 점 차 승리를 거두며 첫 세계선수권대회 메달을 금빛으로 장식했다.

 

송세라는 국제펜싱연맹(FIE) 홈페이지에 실린 인터뷰에서 "내게 큰 행운이자 무척 기억에 남는 날이다. 세계 챔피언이 되는 게 꿈이었는데, 믿기지 않는다"며 "계속 발전하겠다"는 소감을 밝혔다.

 

한편, 남자 사브르 개인전에서는 오상욱(대전광역시청)이 직전 2019년 대회에 이어 2회 연속 우승에 도전했지만 8강전에서 이울리안 테오도시우(루마니아)에게 14-15로 패해 고배를 들었으며, 최조 5위를 기록했다.

 

 

현 남자 사브르 개인 랭킹 1위이자 2018년 세계선수권대회 우승자 김정환(국민체육진흥공단)은 32강전에서 막심 피안페티(프랑스)에게 13-15로 덜미를 잡혔다.

 

올림픽에선 2012 런던, 2016 리우데자네이루, 지난해 도쿄올림픽에서 남자 사브르 개인전 3연패를 달성한 아론 실라지(헝가리)가 세계선수권대회 개인전에선 처음으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영등포청소년문화의집, ‘신비한 나라의 영청문’으로 미래세대에 꿈 선사

[영등포신문=신민수 기자] 영등포구(구청장 최호권)는 지난 11월 1일, 구립영등포청소년문화의집(관장 원혜경)에서 청소년과 가족이 함께 과학과 기술을 쉽고 재미있게 체험할 수 있는 축제 ‘신비한 나라의 영청문’을 개최했다. 이번 축제는 1,000명이 넘는 청소년과 지역주민이 참여하며 큰 호응을 얻었으며, 청소년들이 인공지능(AI), 로봇, 융합과학 등을 체험하는 ‘과학 마법사의 대모험’, 음악과 미디어를 주제로 한 ‘음악 마법사의 대모험’, 그리고 청소년 셀러들이 참여한 플리마켓 ‘신비한 비밀의 상점’ 등으로 구성됐다. 이번 ‘신비한 나라의 영청문’ 축제는 오후 1시부터 7시까지 다채로운 체험 프로그램과 이벤트로 진행되었다. ‘과학 마법사의 대모험’에서는 색이 변하는 매직포션, 나비비행연구소 등 놀이처럼 즐길 수 있는 융합과학 체험부스가 운영되었으며, ‘음악 마법사의 대모험’에서는 AI로 만드는 1분 K-POP, 이야기가 깃든 음악상자 등 음악미디어 체험 프로그램이 마련되었다. 또한 ‘신비한 비밀의 상점’에서는 청소년 셀러들이 직접 운영하는 11개의 부스와 함께 캐리커쳐, 페이스페인팅 등 전 세대가 함께 즐길 수 있게 진행되어 축제의 분위기를 한층 더 풍성하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