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3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사회

추석 연휴, 119 구조요청 1위는 '벌집 제거'

  • 등록 2023.09.28 11:03:34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최근 3년간 추석 연휴에 119로 가장 많이 구조 요청은 '벌집 제거'인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소방청이 제공한 2020∼2022년 추석 연휴 기간 구조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추석 연휴 동안 진행된 구조 건수는 8천447건이다.

이중 벌집 제거가 2천531건으로 30%를 차지했다.

가로수 정비, 담벼락 수리 등 안전조치가 781건, 화재가 726건으로 뒤를 이었다.

 

2021년에는 1만6천266건의 구조 활동 중 6천923건(43%), 2020년에는 9천343건 중 1천968건(21%)이 벌집 제거였다.

인명피해 현황을 보면 작년 한 해에만 벌 쏘임으로 11명이 숨지고, 6천439명이 다쳤다.

벌집 제거 요청 건수는 기후와 야외 활동 여부의 영향을 많이 받는데, 올해는 7, 8월에 비가 많이 와 이전만큼 신고가 많지는 않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한다.

최문보 경북대 식물방역대학원 교수는 "여름에 비가 많이 오면 초기 생존율이 낮아져 벌집이 사람의 눈에 띌 정도의 크기로 성장하는 경우가 감소한다"며 "다만 추석 때는 벌초와 성묘를 많이 하러 가고, 연휴가 길어 산행을 나가는 분들이 많을 테니 벌집과 맞닥뜨릴 가능성이 높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방청은 벌집을 발견하면 직접 제거하려 하거나 벌을 자극하지 말고 119에 신고하라고 당부했다.

 

벌은 어두운 계통의 옷, 향수나 향이 진한 화장품에 더 큰 공격성을 보이기 때문에 야외 활동 시 흰색 계열의 옷과 챙이 넓은 모자를 착용하고, 향수나 향이 진한 화장품은 피하는 것이 좋다.

벌집과 접촉했을 때는 머리 부위를 감싸고 신속하게 20m 이상 떨어진 곳으로 피해야 한다.

벌에 쏘였을 때는 신속하게 벌침을 제거하고 쏘인 부위를 소독하거나, 깨끗한 물로 씻은 후 얼음주머니 등으로 찜질하면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벌독 알레르기로 인한 과민성 쇼크가 발생할 경우 메스꺼움, 울렁거림, 구토와 설사, 호흡곤란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바로 119에 신고하고 병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

소방청은 "연휴 기간에도 119구급상황관리센터가 24시간 운영되니 필요시 언제든 119로 전화해 응급 상담을 하면 된다"며 "응급처치 지도도 받을 수 있고, 응급 질환에 관해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한 경우에는 의사에게 연결해준다"고 밝혔다.

해외 거주자나 해외 여행객도 전화(☎ +82-44-320-0119), 전자우편(central119ems@korea.kr), 인터넷(http://119.go.kr), 카카오톡 또는 라인의 '소방청 응급의료 상담서비스' 채널로 상담을 요청하면 전문의료진의 상담을 받을 수 있다.

한편 연휴 기간 운영되는 병의원과 약국에 대한 일반 정보는 안내 웹사이트(http://www.e-gen.or.kr/egen)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윤영희 시의원, 픽시자전거 제조·유통사 임원 행정사무감사 출석 요구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윤영희 의원(국민의힘)은 오는 11월 4일 열리는 서울시의회 교통위원회 행정사무감사에서 삼천리자전거와 콘스탄틴 등 국내 주요 픽시자전거 제조·유통사 임원들의 참고인 출석을 공식 요구했다. 이는 픽시자전거 안전 문제와 관련해 국내 자전거 기업이 시의회 감사에 직접 출석하는 첫 사례다. 윤 의원은 평소 픽시자전거(고정기어 자전거)의 구조적 위험성과 제동장치(브레이크) 탈거 후 유통되는 불법 관행을 지속적으로 지적해 왔으며, 전국 최초로 ‘픽시자전거 이용 안전에 관한 조례안’을 대표 발의했다. 해당 조례는 브레이크 미장착 제품의 시중 유통 제한, 청소년 대상 안전교육 강화, 서울시의 안전관리 기준 마련 등을 담고 있다. 윤 의원은 “브레이크가 없는 픽시자전거는 이용자뿐 아니라 보행자에게도 심각한 안전 위협이 될 수 있다”며, “제품 제작·유통 과정에서 브레이크를 탈거한 채 판매하는 행위는 기업의 책임 방기이자 공공안전에 대한 경시”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번 참고인 출석은 행정과 기업이 각자의 역할을 분명히 해야 하는 첫 공식 절차”라며 “서울시가 자전거 이용자와 청소년의 생명을 지키기 위한 실질적 제도 개선에 나서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