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문화

[신간안내] 신경숙 박사의 중국어 면접실무 가이드

  • 등록 2021.03.12 16:04:23

 

[영등포신문=신예은 기자] 중국어 면접을 준비하는 모든 수험생과 취업준비생을 위해 만든 교재가 발간되어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책은 중•고급 중국어 능력을 가진 독자들을 대상으로 혼자서도 쉽게 보면서 면접을 준비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면접 전 준비 단계부터 면접 실제 상황, 면접 후 마무리까지 학습자가 스스로 준비할 수 있도록 했으며, 문제는 면접에서 출제 빈도수가 높은 문항을 중점으로 담고 있다.

각 문제마다 예시 답변과 문법 포인트는 학습자들이 면접 문제를 자신의 상황에 맞게 준비할 수 있게 했고, 더 정확한 표현을 구사할 수 있도록 했다. 또한 다양한 면접 에피소드를 통해 실질적인 팁을 얻을 수 있도록 도왔다.

 

저자인 신경숙 박사는 “한중 두 국가는 문화적으로 뿌리가 깊고, 1992년 수교 이래 양국 각 방면의 관계는 모두 크게 발전했다. 한국 학생들이 유학을 가거나 한국대학의 중국어 전공에 응시하고 있으며, 한국인이 중국기업에 구직하는 상황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지만 입학과 입사 모두 면접을 거쳐야 하는데, 면접 상황에 대한 중국어 말하기 교육은 부족하기만 하다”며 “중국어로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는 요령과 중국어 면접실무기법을 가르쳐야 할 필요성을 느껴 중국어 면접을 준비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이 책을 출간하게 됐다. 이 책이 한국의 수험생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신경숙 박사는 중앙대에서 도시 및 지역계획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고, 중앙대 객원교수와 이화여대, 연세대, 중앙공무원교육원 등에서 다년간 중국어를 강의했다.

 

신경숙 외국어학원 설립원장, 국제중국어교육센터 이사장, 한중학술문화교류협회 이사장, 국제중국어교육학회 한국시험 실시기관 센터장, 한국여성경제인협회 이사, 영등포구상공회 수석부회장, 민주평통 상임위원, 북경대학교 연구교수 등을 역임했다.

 

이외에도 대한민국 ‘제1회 중국어 말하기대회’를 개최하고, 인민일보 해외판 한국 대표처 사장을 지냈으며, HSK IBT 시험 실시기관에 관여하며, 아나운서와 국회의원 그리고 다수의 연예인 등에게 중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전세대출 안받으면 1억 낮춰줘"... 대출 규제에 전세시장도 냉랭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새 아파트 입주가 시작됐는데 이번 대출 규제로 날벼락을 맞은 격이에요.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이 막히다보니 집주인의 잔금 마련에 차질이 생기고, 전세도 잘 안 나갑니다. 전세자금대출을 받지 않는 임차인이 귀하신 몸이 됐어요." 지난달 말부터 입주가 시작된 서울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 얘기다. 총가구 수가 3천307가구에 달하는 이 아파트는 입주와 동시에 초고강도 대출 규제를 맞으며 어수선한 분위기다. 지난달 28일 이후 체결되는 전세 계약은 임차인이 전세자금대출을 받는 경우, 그 보증금으로 집주인의 분양 또는 매매 잔금 납부가 금지되면서 자금 마련에 비상이 걸린 것이다. 서초구는 현재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있지만 부동산거래신고법 시행령상 신규 분양 아파트는 거래 허가 대상이 아니다. 이에 따라 새 아파트 분양 계약자는 토허구역 내에서 자신이 입주하지 않고 바로 전세를 놓을 수 있다. 다만 분양가상한제 주택의 실거주 의무가 3년 유예된 상태여서 3년 이내에 분양 계약자가 실거주를 해야 한다. 잠원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집주인이 바로 입주하지 않고 내놓은 전세 물건은 보증금을 받아 분양 잔금을 납부하려는 것들이 대부분"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