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6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정치

2015년 영등포구 이렇게 달라집니다

  • 등록 2015.01.05 09:18:20

[영등포신문=이승일 기자=김남균 기자] 영등포구가 새해를 맞아 달라지는 구정을 교육·복지·경제·건강·환경 등 분야별로 엮은 2015 달라지는 영등포를 발표했다.

교육 분야

쾌적한 독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관내 20개의 작은도서관을 정보도서관, 여의도 디지털도서관과 연결하여 통합 독서검색 시스템을 구축하고, 구청 별관에는 주민들이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의 북카페를 만든다. 2월 중에는 장학재단을 설립하여 장학사업을 확대하고, 10월에는 청소년 미디어 놀이터를 개관해 체험학습 프로그램 등을 운영해 청소년 복합문화공간을 마련하게 된다.

복지 분야

어린이부터 어르신까지 맞춤형 복지 제도를 운영해 주민들의 생활 편리성을 높인다. 구청 별관에 장난감 도서관을 설치해 장난감 대여 및 시간제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아울러 당산1동 제2어린이집을 신축해 아이 키우기 좋은 보육환경을 조성한다. 또한 구립당산치매전문데이케어센터를 개관해 치매어르신에게 맞춤형 치매 케어 서비스를 지원한다.

소외계층을 위해 7월부터 기초생활수급자의 가구여건에 맞는 맞춤형 급여로 바뀌며, 장애인연금 대상 확대 및 급여액 인상으로 소득 하위 70%의 중증장애인에게 2~28만원을 지급하게 된다.

경제 분야

영세기업의 자생력 강화를 위해 기업희망드림창구를 설치하여 기업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경영상담을 제공하는 등 맞춤형 솔루션을 지원한다. 4월에는 사회적경제지원센터를 개관하여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해 사회적경제기업의 성장 발판을 마련한다. 이 외에도 서울시 마을세무사 제도를 도입해 무료 세무 상담을 실시 하는 등 납세자 권리구제를 돕는다.

건강 분야

실내 금연구역 확대 시행에 따라 모든 음식점이 금연구역으로 지정되며, 금연지도원을 운영해 계도활동과 점검을 통해 금연문화의 정착을 유도한다. 또한 국가예방접종에 A형간염을 도입하여 보건소 및 위탁의료기관에서 접종한 만 6세이하 어린이에게는 전액 무료로 지원한다.

환경 분야

 

쓰레기량을 줄이고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시범 운영되던 클린하우스 정거장과 주택가 재활용 정거장을 확대해서 시행한다. 서울시 태양광 시설물에 대한 자체 설치기준 제정에 따라 주변환경과 조화를 이루고 안전한 태양광 시설이 설치될 예정이다. /김남균 기자

2015 달라지는 영등포는 구 홈페이지(www.ydp.go.kr)에서 누구나 확인할 수 있다.

남궁역 시의원, “K-피클볼로 건강도시 서울 실현”

[영등포신문=곽재근 기자]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남궁역 의원(국민의힘, 동대문3)은 10월 15일 서울시의회 별관에서 ‘한강공원 내 피클볼 활성화와 건강증진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여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토론회는 한강공원 등 공공체육시설을 활용해 뉴스포츠인 피클볼(Pickleball)을 시민 생활체육으로 확산시키고, 세대 간 소통과 건강 증진을 실현하기 위한 논의의 장으로 마련되었다. 발제는 임종민 삼육보건대학교 교수가 맡아 “피클볼은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고 부상 위험이 낮아 초고령사회에 적합한 생활체육”이라며 “서울시 RISE 사업과 연계해 대학이 지역사회 건강증진의 거점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어 좌장인 박주희 삼육보건대학교 총장의 사회로 진행된 토론에는 조훈 서정대학교 부총장, 이종민 웰니스산업리더협회 대표, 김병돈 동대문구 체육진흥과 팀장, 정영신 서울시 체육진흥과 팀장이 참여해 다양한 정책 제안을 내놓았다. 토론자들은 ▲전문대학 중심의 피클볼 학과 신설을 통한 대학–지역 연계 협력 모델 구축, ▲공공과 민간이 함께하는 시민참여형 플랫폼 조성, ▲학교·공원 등 유휴공간을 활용한 이동식 코트 확충, ▲서울시의 공공체육시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