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종합

[기고] 6·25전쟁 유엔 참전국, 얼마나 알고 계시나요?

  • 등록 2020.07.17 16:21:46

6·25전쟁 70주년을 한 달 앞둔 지난 5월 대한민국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6·25전쟁 참전국에 100만 장의 마스크와 손 소독제 등 방역물품을 전달했다. 이는 70년 전 우리나라를 도와준 UN참전용사의 희생과 헌신을 잊지 않고 보답하겠다는 정부의 보은(報恩)의 의지가 담긴 보훈외교로, 수혜 대상의 대다수는 미국, 영국, 캐나다, 터키와 같이 잘 알려진 나라들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이번에 마스크를 전달받은 대상 중에는 사막 등지에 거주해 열악한 위생 환경으로 어려운 상황에 놓여 있는 ‘나바호족’이 있다. 이들은 나바호 네이션(보호구역 내 자치정부)에 거주하고 있는 북아메리카 인디언 종족으로, 6·25전쟁 당시 약 800명이 미국 군인 신분으로 참전했으며, 현재는 고령이 된 참전 용사 130여 명만이 생존해 있다. 비교적 덜 알려진 언어인 나바호어가 암호로 채택됨에 따라 나바호족 용사들은 암호통신병으로서 전쟁 중요한 역할을 했다. 또한 나바호족의 여성 참전용사들은 간호 분야에서 활약을 펼치기도 했다.

 

‘나바호족’처럼 6·25전쟁에 참전했지만 비교적 덜 알려진 또 다른 나라가 있다. ‘멕시코’는 6·25전쟁에 물자를 지원한 39개 국가 중 하나로서, 실질적으로는 병력도 파병했지만, 공식적으로는 참전국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그 이유는 멕시코 용사들이 미군 신분으로 참전했기 때문이다. 실제 참전한 멕시코 용사들의 숫자는 정확히 집계되지 않으나, 멕시코인들로만 구성된 분대가 있었을 뿐 아니라 미군 참전용사의 10%이 히스패닉이었으며 이 중 10만 명 이상이 멕시코 참전용사였다고 추정된다. 멕시코에는 6·25참전용사와 관련된 단체나 정부 차원의 기념사업이 존재하지 않기에 고령이 되어버린 참전 용사들은 잊혀 가고 있다.

 

‘시끼스’는 ‘신발 두 짝 중 한 짝(one pair of shoes)’이라는 뜻으로 나바호어로 ‘친구’를 가리키며, 나바호 사람들이 한국인을 만나면 하는 말이기도 하다. 지구 반대편에 살고 있지만 나바호족 인디언들은 한국인을 이방인이 아닌 진정한 친구이자 형제로 여기는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떨까? ‘나바호족’과 ‘멕시코’ 참전용사뿐만 아니라 여전히 수많은 참전용사들이 역사 속에서, 또 우리의 기억 속에서 잊혀 가고 있다. 가족과 친구가 있는 고국을 떠나 낯선 이국 땅에서 자유와 평화를 수호하기 위해 목숨 바쳐 함께 싸운 전우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것, 그것이 그들이 지켜낸 대한민국에 살고 있는 우리의 의무일 것이다.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 모기 활동철 대비 감염병 모기 조사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19일, 봄철 모기 활동이 본격화하는 시기를 맞아 감염병을 매개하는 모기에 대한 조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연구원은 11월까지 시민이 많이 찾는 공원이나 산책로 등에 '모기 유인기'를 설치해 모기를 채집하고 병원체를 분석한다. 주거 지역에서는 자치구와 협력해 유문등을 활용해 모기를 채집하고 감염병 매개 모기와 병원체 보유 여부를 검사한다. 유문등은 빛으로 모기를 유인해 포집하는 방식의 채집기로 25개 자치구에 총 53대가 설치돼 있다. 검사 결과는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data.seoul.go.kr)에 공개한다. 아울러 최근 증가하는 말라리아 환자의 확산 방지와 예방을 위해 서울시 말라리아 퇴치 사업단과 협력한다. 그간 연구원이 축적해온 병원체 매개 모기 조사·연구 결과를 퇴치 사업단과 공유해 모기 매개 감염병 예방 대책과 방역 계획 수립에 활용한다. 다년간 채집 모기를 분석한 결과 약 90%는 질병 매개 사례가 없는 빨간집모기였으나 모기로 인한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인 물 치우기 등 주변 정비가 필요하다고 연구원은 설명했다. 박주성 보건환경연구원장은 “최근 모기 매개 감염병의 발생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다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