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2 (금)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사회

영등포구, 찾아가는 온라인 NGE 교실 운영

  • 등록 2020.07.27 09:02:27

 

[영등포신문=임태현 기자] 영등포구가 지역 초‧중학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온라인 NGE 교실’ 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구는 지난 2018년 ‘학교로 찾아가는 IoT(사물인터넷) 교실’을 시범 운영해 큰 호응을 얻었다. 이에 2019년에는 ‘찾아가는 NGE(New Generation Education)교실’로 이를 확대해 운영했다.

 

지역 20개 초‧중학생 903명을 대상으로 ‘미세먼지 공기정화 스마트화분 메이커 활동’ 교육 및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혼합현실(MR) 체험활동 수업을 실시,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올해는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온라인 프로그램으로 운영된다. 화상 앱을 이용한 실시간 비대면 프로그램, ‘찾아가는 온라인 NGE 교실’이 그것이다.

 

 

프로그램 참가 학생들은 각자 집 또는 교실에서 화상 앱을 이용해 수업에 참여하게 된다. 프로그램은 총 2차에 걸쳐 진행되며, 차수별로 10개 학교씩 총 20개 학교를 선착순 모집한다. 초등학교 4~6학년과 중학교 1~3학년이 대상이다.

 

1차는 지난 7월 20일까지 접수했으며 다음달 8월 28일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2차 모집 기간은 9월 1일부터 11일까지며, 수업은 별도의 참가비 없이 무료로 진행된다.

 

교육명은 ‘비대면 메이키메이키 코딩교실’이다. 구 융합인재교육센터 소속 전문 강사진의 지도 아래 창의성을 개발하는 피지컬 컴퓨터 도구 ‘메이키메이키’와 블록코딩 프로그램을 활용한 소프트웨어 교육으로서, 코로나 바이러스 퇴치 게임 제작 과정이 주된 내용이다.

 

학생들은 코로나 바이러스로 대표되는 사회적 문제를 퇴치하는 게임 제작을 체험하며 사회적 문제에 대한 창의적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이로써 미래 사회에 적합한 창의융합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취지다.

 

채현일 구청장은 “4차 산업혁명과 디지털 전환기에 과학꿈나무의 미래를 활짝 열어 줄 융합인재교육의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하는 교육으로 우리 아이들의 꿈과 끼를 마음껏 펼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서울야외도서관, 9월 5일 하반기 운영 재개

[영등포신문=신민수 기자] 서울야외도서관(책읽는 서울광장, 광화문 책마당, 책읽는 맑은냇가)이 혹서기 휴장을 마치고 9월 5일부터 11월 2일까지 하반기 운영에 나선다. 9월 한 달간은 초가을 선선한 밤바람을 맞으며 독서를 즐길 수 있는 야간도서관(16시~22시)으로 운영하고, 10월 하순부터는 날씨를 고려해 운영시간을 주간(11시~18시)으로 변경한다. 상반기 전체 방문객 중 11%가 외국인으로 나타난 만큼 하반기에는 다양한 국가와의 문화교류를 확대해 ‘세계인의 야외도서관’으로 거듭난다. 아일랜드, 페루, 중국, 이탈리아, 인도 등 5개국 대사관·문화원과 협력해 야외도서관을 찾는 시민과 관광객에게 색다른 문화 경험을 제공할 예정이다. 해외관광객을 위한 서비스도 대폭 강화한다. 2천여 권의 외국어 도서를 추가로 비치하고, 한국 소설과 한국 영화 원작 소설의 번역서를 비치해 ‘K-문학’의 매력을 가까이서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이 외에도 서울의 다양한 명소와 관광 정보를 소개하는 외국어 도서를 선별한 ‘큐레이션 존’을 운영할 예정이다. 또한 서울야외도서관만의 특별한 배경음(사운드트랙)을 개발해 야외도서관의 브랜딩을 강화한다. 사운드울프와 협력해 서울광장의 하늘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