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2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종합

서울시, 전국최초 실시간 온라인 재난안전체험 운영

  • 등록 2021.02.16 17:16:23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서울시 소방재난본부(광나루안전체험관)는 코로나19 감염증 사태로 체험시설 이용제한이 장기화되는 상황에서 안전체험을 원하는 시민을 위해 비대면 온라인 안전체험을 22일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 관계자는 “이번에 운영되는 안전체험 프로그램은 온라인으로 참여한 시민이 진행자와 함께 광나루안전체험관의 시설을 이용하여 실시간 화상으로 소통하며 체험하는 방식”이라며 “자연재난, 인적재난 및 생활안전을 주제로 하는 3가지 체험코스로 운영되고 다양한 체험시설을 활용해 위기상황에서 필요한 대처요령을 습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온라인 재난안전체험 프로그램 진행자는 리히터 규모 7.0급 지진 체험, 초속 30미터 강풍 체험, 짙은 연기가 채워진 130m 길이의 화재대피 체험 등을 통해 참여시민에게 안전정보 및 대처요령을 교육한다. 또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최근 설치한 ‘개인위생 및 방역체험시설’을 이용해 각종 방역수칙도 실습할 수 있다.

 

누구나 이용 가능하고 매주 월요일부터 금요일 사이에 1일 2회 운영되며 1회 당 100명까지 참여 가능하다. 참여신청은 광나루안전체험관 홈페이지(https://fire.seoul.go.kr/gwangnaru/)를 통해 사전 예약해야 한다.

 

 

1회당 체험시간은 100분이며 PC 또는 모바일 접속 후 화상 연결 플랫폼 Zoom을 통해 진행된다. 22일 오전 10시 첫 회 운영 시에는 참여 시민과 함께 돌발 퀴즈 등 깜짝이벤트를 진행할 계획이며, 퀴즈 정답자 및 체험후기 작성자에게 소정의 기념품도 증정한다.

 

시 소방재난본부는 코로나19로 안전체험관 방문이 어려운 상황이 장기화 되면서, 감염우려 없이 집에서도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온라인 안전체험을 기획했다.

 

시 소방재난본부(광나루안전체험관)는 이번 비대면 온라인 안전체험 운영 외에도 안전교육 콘텐츠를 제작하여 유튜브 등 SNS를 통해 제공하고 교육기관 등에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최태영 서울소방재난본부장은 “누구나 재난이나 사고를 겪을 수 있는 만큼 온라인 안전체험에 대한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안전체험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안전문화 확산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동북아역사재단, 독도체험관 전면 리뉴얼 후 재개관식 개최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동북아역사재단(이사장 박지향)은 10월 24일 오후 3시 영등포 타임스퀘어 지하 1층에 자리한 독도체험관에서 재개관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재개관은 실감형 독도 체험 콘텐츠로 독도체험관을 전면 리뉴얼한 것을 기념하는 자리로, 광복 80주년과 대한제국 칙령 제41호 제정 125주년을 함께 기념하는 의미도 담고 있다. 재개관식에는 최교진 교육부 장관, 최호권 영등포구청장, 박현우 영등포구의회 의원, 오세정 서울대 전 총장, 박경서 대한민국 초대 인권대사, 박인국 숙명학원 이사장, 정진성 서울대 명예교수, 당산중학교와 유한공업고등학교 교사 및 학생 등 약 100여 명이 참석한다. 국회 국감 일정으로 불참하는 김영호(교육위원장)·채현일·김용태·강경숙 국회의원은 영상 축하 메시지를 통해 함께 한다. 이번 리뉴얼의 핵심은 ‘실감영상실’의 신설이다. 관람객은 독도 현장에서 직접 촬영한 초고화질(4K) 영상과 함께, 몰입형 4면 대형 스크린, 입체 음향 등 실감 기술이 결합된 공간을 통해 마치 독도 현장에 있는 듯한 생생한 체험을 할 수 있다. 특히, 1947년부터 1953년까지 세 차례 독도를 조사했던 학술조사대원의 모습을 AI 복원 기술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