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문화

영등포구, 2021 문래에코축제 개최

  • 등록 2021.11.18 10:21:52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영등포구는 오는 20일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친환경 마을축제 ‘2021 문래에코축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문래동 주민자치회에서 준비한 ‘2021 문래에코축제’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환경문제, 기후 위기에 대한 관심을 제고하고, 일상 속에서 적극적으로 환경 보호를 실천할 수 있도록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어내고자 기획됐다.

 

이번 행사는 문래역 1번 출구 인근에 위치한 문래근린공원에서 오전 11시부터 오후 15시까지 진행되며, 전시마당, 체험마당, 놀이마당, 나눔장터 등 다채롭고 유익한 프로그램들로 꾸려진다.

 

우선 전시마당에는 환경을 주제로 한 사진전과 함께 문래동 관내 어린이집 아이들이 지구를 아끼는 마음을 담아 직접 그린 그림들이 전시되어 눈길을 끌 예정이다.

 

 

체험마당에서는 아이부터 어른까지 모두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친환경 프로그램들을 선보인다. ▲태양광 헬리콥터 만들기 ▲자투리 나무로 친환경 핸드폰 거치대 만들기 ▲EM 효소 만들기 ▲화학성분 없는 친환경 세제 만들기 등 일상에서 지구를 지키는 다양한 방법들을 배워볼 수 있다.

 

놀이마당에서는 ▲딱지치기 ▲팽이 돌리기 ▲제기차기 ▲투호놀이 등 민속놀이를 가족과 함께 즐길 수 있고, 공원 한 편에는 필요 없는 물건들을 이웃과 나누고 바꿔쓰며 생활 속 자원순환을 실천하는 나눔장터가 펼쳐진다.

 

이밖에도 사물놀이, 라인댄스, 환경동화극, 색소폰 연주 등 주민들이 직접 참여한 공연들이 축제의 즐거움을 더하고, 홍보마당을 통해 주민자치회 활동을 비롯한 재활용품의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 에코마일리지 혜택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또 모든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는 환경을 보호하는 동시에 건강까지 챙기는 ‘줍깅’ 활동을 함께 하며 더욱 뜻깊게 축제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아울러 축제의 모든 프로그램은 코로나19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 착용, 손 소독, 참석자 간 거리두기 등 방역수칙을 철저히 준수하며 안전하게 진행된다.

 

채현일 구청장은 “올해 첫 문을 연 ‘2021 문래에코축제’는 주민 모두가 함께 즐기고 화합하는 소통의 장이자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되새겨 볼 수 있는 문래동 대표 환경 축제로 자리매김할 것”이라며 “가을 끝자락에 선 주말,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로 풍성한 문래에코축제에서 가족, 친구, 이웃과 함께 소중한 추억을 만들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 서울남부지청, 임금체불 예방 위한 현장점검 실시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고용노동부 서울남부지청(지청장 송민선)은 지난 6월 16일부터 27일까지 2주간 ‘현장 예방점검의 날’을 운영하며, 노무관리가 취약한 중소규모 사업장과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노동법 위반 여부에 대한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에 소재한 30인 미만 사업장 113개소를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근로감독관이 직접 사업장을 방문해 임금 체불, 근로계약서 작성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점검했는데, 44개 사업장에서 총 64건의 임금 및 퇴직금 체불 사례가 적발됐고, 12억 7,400만 원에 달하는 체불액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시정지시했다. 특히 근로감독관들은 사업장에 실효성있는 노무관리 방법에 대하여 지도하면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업체들에는 사업주 융자제도를 안내하며 체불 임금을 청산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독려했다. 이번 점검 결과는 여전히 많은 사업장들이 노동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노무관리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개정된 법 내용에 대한 지식 부족, 수당 계산 방식에 대한 미숙한 이해, 경영상의 어려움 등이 체불의 주요 원인으로 파악됐다. 실제로 점검을 받은 A사 대표는 “회계연도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