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

청와대 ‘장애예술인 특별전’ 2주간 5만명 관람…23점 판매

  • 등록 2022.09.19 15:14:28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문화체육관광부는 지난 16일 청와대 춘추관 장애예술인 특별전 '국민 속으로 어울림 속으로'에 2주간 5만명이 넘는 관람객이 다녀갔다고 밝혔다.

지난 12일 대통령이 특별전을 깜짝 방문한 데 이어 14일에는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 피아니스트 백건우 씨, 디자이너 이상봉 씨(홍익대학교 패션대학원 원장)가 전시장을 찾았다.

개막 첫 주 손영락 작가의 작품 '밧'이 처음 판매된 것을 시작으로 지난 14일까지 23점이 판매됐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정은혜 작가가 출연한 드라마 의 첫 촬영이 있던 날의 '영희'(정은혜 작가 본인)와 '영옥'(배우 한지민 씨)의 모습을 담아낸 작품인 '영옥과 영희'를 구매했다.

김대진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은 고 이어령 초대 문화부 장관의 '예술하는 아이들은 잘 놀아야 한다'라는 취지의 말을 떠올리며, 집무실에 걸어놓을 작품으로 아이들이 천진하게 놀고 있는 모습을 그린 이순화 작가의 '추억의 편린들'을 구매했다.

지난 8일 문체부가 발표한 '제1차 장애예술인 문화예술 활동 지원 기본계획'은 장애예술인의 창작물 유통 지원을 위한 공공구매 확대를 핵심과제로 담고 있고, 지난 7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장애예술인 문화예술 활동지원에 관한 법률' 개정안도 국가,지자체,공공기관의 장애예술인 창작물 우선구매 의무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와 같이 장애예술인의 예술시장 진출과 창작물 유통 활성화가 기대되는 시점에 장애예술인의 활동에 대한 관심이 실제 작품 구매로 이어져 장애예술인들이 크게 반기고 있다.

장애예술인 특별전 폐막 전 마지막 주말에도 작가와의 만남은 계속된다. 17일 오후 2시에는 김은지 작가, 방두영 작가, 18일에는 정은혜 작가가 관객들과 만난다. 장애예술인 특별전 '국민 속으로 어울림 속으로'는 청와대 춘추관에서 19일까지 연다.

한편, 개막 이후 춘추관 전시장에는 영화 의 농인 배우 트로이 코처 씨, 원로 배우 김지미 씨, 김동호 전 강릉국제영화제 이사장 등 문화예술계 인사와 대한불교조계종 성공 스님, 한국불교종단협의회 도각 스님, 천도교 주용덕 종무원장, 류영모 한국교회총연합회 대표회장 등 각계각층의 인사들이 방문했다.

 

이규선 영등포구의원, 포동포동 기부행사 참석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영등포구의회 이규선 운영위원장(국민의힘, 영등포동·당산2동)이 16일 오전 10시 영등포동 공공복합센터에서 열린 ‘포동포동 기부행사’에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영등포시장에서 ‘잔치집’을 운영하는 주시문 대표가 민족 최대명절인 추석을 맞아 지역 내 어려운 이웃들을 위해 라면 200박스를 영등포동에 기부한 것으로, 전달된 물품은 독거노인, 저소득층 등 도움이 필요한 이웃들에게 전달될 예정이다. 행사에는 영등포구의회 이규선 운영위원장을 비롯해 전승관 의원, 김정태 전 서울시의원, 박찬호 영등포동장, 최오운 영등포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위원장과 주민들이 함께했다. 주시문 대표는 “지역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어려운 이웃들과 따뜻함을 나누고 싶어 이번 기부를 결정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나눔 활동을 통해 더불어 사는 공동체 조성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이어서 이규선 운영위원장은 “경기침체로 인해 모두가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지금 이웃과 온정을 나누기 위한 주시문 대표님의 실천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며 “저 또한 민관 협력을 통한 복지 사각지대 해소와 지역사회 결속 강화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