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6 (목)

  • 맑음동두천 4.0℃
  • 맑음강릉 9.3℃
  • 구름조금서울 7.6℃
  • 안개대전 6.9℃
  • 박무대구 8.5℃
  • 박무울산 11.9℃
  • 구름조금광주 8.4℃
  • 맑음부산 15.0℃
  • 맑음고창 5.7℃
  • 맑음제주 15.8℃
  • 구름많음강화 7.5℃
  • 맑음보은 2.2℃
  • 구름많음금산 4.7℃
  • 맑음강진군 6.7℃
  • 맑음경주시 7.8℃
  • 맑음거제 11.7℃
기상청 제공

종합

국민 10명 중 7명 “식품 물가 부담”

  • 등록 2022.12.09 15:18:28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국내 소비자 10명 중 7명 이상은 식품 물가에 부담을 느끼고 있으며, 또 절반은 내년에 식품 구매 비용이 더 증가할 걸로 전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9일, 이계임 박사팀이 올해 5∼7월 가구 내 식품 주구입자 3천3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2년 식품소비행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자의 73.4%는 식품물가에 대해 '비싸다'고 답했는데, 지난해에는 '비싸다'는 응답이 66.0%였다.

 

소비자들은 식품물가 변동의 주요 요인으로 '국제 식량가격 상승'(26.1%), '복잡한 유통과정과 과다한 유통 마진'(18.9%), '농산물 생산비용 증가'(17.0%) 순으로 답했다.

 

 

또, 응답자의 49.2%가 올해보다 내년 식품비 지출이 더 증가할 것이라고 봤다.

 

이는 첫 조사가 시행된 지난 2013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커지면서 올해 국내 소비자들의 식품 선택 기준에서 '가격' 영향력이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채소류 구매 시 가격을 고려한다는 응답이 22.3%로 지난해 17.7%보다 늘었고, 과일류 구매 시에도 가격을 본다는 답변이 지난해 18.6%에서 올해 22.7%로 상승했다.

 

쌀과 육류 구매 시에도 가격을 고려한다는 응답이 각각 25.1%, 16.9%로 지난해보다 모두 상승했다.

 

 

소비자들이 식품을 주로 사는 장소로는 대형마트(33.6%), 동네 슈퍼마켓(31.5%), 대기업에서 운영하는 중소형 슈퍼마켓(19.9%), 전통시장(9.9%), 온라인 주문(4%)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음식을 직접 만들어 먹는다고 응답한 가구는 2013년 89.7%에서 올해 63.2%로 떨어졌다.

 

이 밖에 연구원은 앞으로 주목해야 할 식품소비 트렌드로 '편리성', '건강', '윤리·가치소비' 등을 꼽았다.

김재진 시의원, “환경공무관 통상임금 소송, 25개 자치구 재정 부담 심각... 시 지원 방안 필요”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서울시의회 환경수자원위원회 김재진 의원(국민의힘, 영등포1)은 제333회 정례회의 2025년 기후환경본부 행정사무감사에서 자치구가 직고용한 환경공무관들의 통상임금 소송 관련 임금 지급 문제에 대해 집중 질의하며, 25개 자치구가 떠안은 약 3,780억 원 규모의 재정 부담에 대해 서울시의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환경공무관 통상임금 소송은 2016년부터 환경공무관들이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해야 한다며 제기한 것으로, 지난 8월 최종 승소 판결이 내려졌다. 이에 따라 앞으로 자치구는 10년간의 임금 차액과 이자 5%를 포함해 총 3,779억 원을 지급해야 하는 상황이다. 김 의원은 “자치구 예산으로 소급임금을 부담해야 하는데, 서울시가 환경공무관 노조와 직접 합의서를 체결한 것은 적절한지”를 질의했다. 이에 대해 기후환경본부장은 “소송은 자치구와 환경공무관 간의 문제이지만, 시가 대표로 노조와 협상했으며 지난 7월 노조와 협의해 소급임금을 2년에 걸쳐 지급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어 “관악·영등포·종로·노원구 등은 200억 원 이상으로 재정 부담이 매우 커 서울시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