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구름많음동두천 13.5℃
  • 맑음강릉 15.9℃
  • 맑음서울 12.8℃
  • 맑음대전 14.0℃
  • 맑음대구 16.2℃
  • 맑음울산 15.6℃
  • 맑음광주 13.5℃
  • 맑음부산 14.0℃
  • 맑음고창 11.8℃
  • 맑음제주 15.9℃
  • 맑음강화 9.4℃
  • 맑음보은 13.3℃
  • 맑음금산 12.8℃
  • 맑음강진군 14.6℃
  • 맑음경주시 16.2℃
  • 맑음거제 13.3℃
기상청 제공

사회

영등포구사회복지협의회, ‘설날맞이 취약계층 및 사회복지시설 물품 나눔’

  • 등록 2025.01.16 14:16:23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영등포구사회복지협의회(회장 박영준)는 16일 오전 영등포구청 별관 주차장에서 ‘영등포구사회복지협의회와 함께하는 설날맞이 취약계층 및 사회복지시설 물품 나눔’ 행사를 실시했다.

 

이번 나눔 행사는 2025년 설을 맞이해 관내 사회복지시설을 통해 시설을 이용하는 저소득 취약계층에게 필요한 물품을 나눔해 따뜻하고 풍성한 명절을 보낼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마련됐다.

 

이날 박영준 회장과 최호권 구청장을 비롯해, 황무섭 대한노인회 영등포구지회장, 유승용 구의회 부의장, 한독화장품(주), ㈜남서울환경 경숙현 대표, ㈜코스콤 황상검 부서장, 신우카독크 장금순 대표, 기현중기 박순진 대표, 본아이에프(주) 함진경 실장, (주)대일그룹 유영승 회장, 사회복지시설 기관장, 협의회 임원 등 40여 명이 함께한 가운데 차담회, 후원금·품 전달식, 영등포푸드뱅크마켓 이용자에게 설 명절 꾸러미 전달, 기념촬영 순으로 진행됐다.

 

 

최호권 구청장은 “우리 주변의 어려운 이웃들을 위해 신경써주시고 후원해주시는 지역 내 기업들과 주민들을 볼 때마다 영등포구가 마음이 따뜻하고 정이 많은 지역임을 느낀다”며 “관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부분들에 대해 함께 감당해주시는 것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유승용 부의장도 “물품 후원을 통해 지역 내 취약계층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보여준 후원 기업과 사회복지협의회에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고 했다.

 

박영준 회장은 “오늘 모인 정성은 취약계층이 따뜻한 겨울을 나는데 큰 힘이 될 것”이라며 “어려운 경기에도 불구하고 풍성한 나눔을 할 수 있도록 협조와 도움을 주신 후원자 및 협의회 임원 여러분께 감사드린다”고 했다.

 

영등포구사회복지협의회는 한독화장품(주), ㈜남서울환경, 기현중기, 신우카독크, 또순이네, 한국수출입은행, ㈜코스콤, 본아이에프(주), ㈜대일그룹, 서울서남부농협,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상원사, 영등포농협, 서울마을버스운송사업조합, 위엠비, ㈜현두상사, ㈜아이썸코리아, ㈜BYC 등으로부터 후원을 받아 쌀, 라면, 명절선물세트, 샴푸, 건강식품, 의류, 식품꾸러미(떡국떡 외 5종) 등 총 2억5천만 원 상당의 물품을 저소득 취약계층과 관내 사회복지시설 50여 곳에 전달했다.

 

 

서울 기후동행카드 1년 2개월여 만에 누적 충전 1천1만 건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서울시를 넘어 수도권 대표 교통혁신 정책으로 자리매김한 기후동행카드 누적 충전 건수가 1년2개월여 만에 1천만 건을 돌파했다. 서울시는 이달 11일 기준 선불 기후동행카드의 누적 충전 건수가 1천1만 건(실물 690만 건·모바일 311만 건)을 넘어섰다고 15일 밝혔다. 시가 지난해 1월 27일 선보인 기후동행카드는 지하철과 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하나의 카드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통합 대중교통 정기권이다. 시는 기후동행카드 출시 이후 시민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해 김포, 남양주, 구리, 고양, 과천 등 수도권으로 사용지역과 범위를 넓혀왔다. 또 결제수단을 신용카드로 확대하고 후불형 카드도 출시하는 등 편의성 향상에 집중해 왔다. 본사업 이후에는 내·외국인 관광객과 단기 이용자를 위한 단기권(1·2·3·5·7일권)을 도입하고 서울대공원, 서울식물원, 서울달 등 주요 문화시설과의 연계 할인 혜택도 제공했다. 시는 본사업 이후 기후동행카드의 경제적·환경적 효과를 검증하고 지속 가능한 정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전문기관을 통한 연구용역을 실시할 예정이다. 기후동행카드의 혁신도 계속된다. 먼저 수도권으로 이용범위가 꾸준히 확대된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