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영등포구의회 차인영 의원(사회건설위원장, 국민의힘, 신길 4·5·7동)은 19일 오전 구의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제264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영등포가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행정의 기반으로 삼아야 할 필요성에 대해 설명했다.
차 의원은 먼저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시대는 이미 우리 삶 곳곳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행정 또한 예외가 아니다”라며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할 때에만 행정은 과학적이고 효율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주민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발언을 시작했다.
이어 “중앙정부 역시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여 공공데이터법과 데이터 기반 행정법을 제정하고, 올해 1월부터는 인공지능 기본법까지 시행해 제도적 기반을 갖추었다”며 “이는 곧 지방 정부와 기초 자치단체가 뒤따라 가야 할 분명한 과제를 보여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 “우리 영등포구도 이러한 변화 속에서 가능성을 보여줬다. 여의도 봄꽃 축제에서는 방문객 수, 매출, 쓰레기 발생량 데이터를 분석해 축제 운영과 환경 관리에 반영했고, 안양천 이용 현황을 데이터로 분석해 수변 문화 공간과 체육시설 조성에 활용했다”며 “특히 지난해 행정안전부의 공공데이터 제공 운영 실태 평가에서 처음으로 우수 등급을 받으며 영등포구는 데이터 행정을 추진할 잠재력을 대외적으로 인정받았다”고 했다.
차 의원은 “그러나 이러한 성과만으로는 부족하다. 개별 부서와 담당자의 노력에 의존하는 방식만으로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추진이 어렵다”며 “현행 제도는 책임관과 실무 담당자 지정까지만 규정하고 있으며, 별도의 전담 부서 설치는 의무가 아니다”라고 했다.
아울러 “하지만 성동구는 빅데이터 센터를 통해 교통 혼잡 지역을 개선하고 복지 사각지대 가구를 발굴했으며, 송파구는 교통 빅데이터를 활용해 심야버스 노선을 개편했다”며 “이처럼 선제적으로 대응한 자치구들은 주민이 체감하는 성과를 내며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계속해서 “영등포구도 더 큰 도약을 위해서는 이제 데이터 AI 행정을 전담하는 조직을 마련해야 한다. 앞으로는 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곧 행정의 경쟁력이 될 것”이라며 “교통·환경·복지·안전·문화 등 모든 정책 영역에서 데이터와 AI가 행정을 뒷받침할 때 부위는 변화를 직접 체감할 수 있다. 영등포구가 이미 보여준 잠재력을 제도와 조직으로 뒷받침한다면 더 큰 성과로 이어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데이터 인공지능 전담 부서를 설치해 지속적이고 종합적인 행정을 추진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만들어가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의원은 이미 영등포구 데이터 기반 행정 및 공공 데이터 이용 활성화 조례와 영등포구 인공지능 기본 조례를 대표 발의했다”며 “이 두 조례는 단순히 선언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데이터를 정책 설계 단계에 반영하고 인공지능을 행정의 실행 수단으로 삼을 수 있는 제도적 토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제 남은 과제는 집행부가 이를 실제 행정에 반영하고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로 연결하는 일”이라고 했다.
차인영 의원은 마지막으로 “가능성은 이미 입증됐다. 이제는 실행으로 이어가야 한다. 전담조직을 설치하고 마련된 제도적 기반을 정책으로 연결할 때 영등포는 타 자치구의 뒤를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서울을 선도하는 자치구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며 “그리고 이것이야말로 구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바꾸는 행정 혁신의 길이라고 확신한다. 본 의원 또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위해 끝까지 노력하겠다”고 발언을 마무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