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9 (수)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사회

영등포50+센터, 선별진료소 의료진에 힐링키트 전달

  • 등록 2020.10.23 09:22:55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영등포구는 영등포50플러스센터와 함께 코로나19 방역 최전선에서 일하는 영등포 선별진료소의 의료진을 응원하기 위한 ‘힐링키트’를 직접 제작해 지난 22일 영등포 소재 선별진료소 3개소로 전달을 마쳤다.

 

‘힐링키트’는 영등포50플러스센터 커뮤니티 회원들이 자발적으로 일손을 모아, 구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헌신하는 의료진들의 노고에 감사와 응원의 마음을 담았다.

 

‘힐링키트’라는 이름과 걸맞게 주요 구성품으로, 불면증 완화와 숙면에 좋은 편백나무 베개, 눈의 피로를 풀어주고 체온을 높여주는 팥찜질팩, ▲간단한 다과와 함께 어린이집 원아들이 직접 작성한 응원편지도 동봉됐다.

 

영등포50플러스센터 커뮤니티 회원과 지역 주민, 자원봉사자 등 총 250여 명이 제작에 참여했으며, 구립 둥근마음어린이집 원아도 제작에 함께해 의료진을 응원하는 고사리손의 열정과 마음을 담았다. 정성 가득 담긴 힐링키트는 지난 22일 영등포구 선별진료소 3개소의 의료진 180여 명에게 직접 배송을 마쳤다.

 

 

영등포플러스센터 회원들은 지난 5월에도 아로마오일, 원두커피 핸드드립백, 캘리그라피로 쓰여진 응원 엽서로 구성된 ‘덕분에 키트’를 영등포보건소 선별진료소 외 4개 의료기관에 배부해 총 의료진 400여 명에게 감사와 존경의 마음을 전한 바 있다.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의료진은 ‘덕분에 키트’를 들고 환하게 웃고 있는 인증사진까지 보내주며, 따스한 나눔과 관심에 고마움을 표하기도 했다.

 

제작에 참여한 센터 회원과 자원봉사자 모두 코로나19 방역 지침에 따라 발열체크, 손 소독, 마스크 의무착용 등 철저하게 개인 위생수칙을 준수하며 작업했으며, 센터 내‧외부의 소독과 환기도 주기적으로 실행한 가운데 진행됐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채현일 구청장은 “키트 제작에 동참한 영등포50플러스센터장을 비롯한 회원들, 지역주민 및 기업 자원봉사자 등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린다”며 “힐링키트가 방역의 최전선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위해 쉼없이 헌신하고 있는 의료진들에게 작지만 큰 위안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최호정 시의회 의장, 학교 현장 찬아 폭염 대응책 긴급 점검

[영등포신문=나재희 기자] 서울 전역에 폭염경보가 이틀째 지속되는 가운데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은 9일, 동대문 이문초등학교를 방문해 폭염 대응책을 긴급 점검했다. 방문에는 이 지역 시의원인 심미경 의원도 함께했다. 앞서 8일 서울은 117년 만에 7월 상순 역대 최고기온(37.8도)을 기록했다. 이에 서울시교육청은 관내 유‧초‧중‧고등학교에 ‘폭염경보에 대한 대응 철저 요청’의 공문을 보내 학생들의 하굣길 화상‧열사병 피해 예방을 위한 양산쓰기 등 긴급대책을 제안했다. 또, 폭염경보 발령 때 학교장이 등하교 시간 조정, 단축수업 등 학사 운영을 탄력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했다. 이날 방문한 이문초등학교는 주변 재개발로 인해 학생 수가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상황으로 현재 750여 명이 재학 중이고, 내년 1천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최 의장은 먼저 학교장으로부터 폭염 대응책과 늘봄학교 등 방과 후 돌봄 현황을 청취하고 늘봄학교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교실을 둘러봤다. 학교장은 폭염이 길어지면서 학교 기본운영경비의 30~40%가 전기, 가스, 수도요금으로 나가는 실정이라고 애로사항을 전했다. 날 최 의장은 여름방학 기간 돌봄이 필요한 아이들의 수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