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4 (목)

  • 흐림동두천 23.0℃
기상청 제공

사회

한국DPI, 새로운 아․태10년 준비를 위한 간담회 가져

  • 등록 2024.03.04 17:18:08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사)한국장애인연맹(회장 이영석, 이하 한국DPI)은 지난 2월 27일부터 3월 1일까지 새로운 아․태10년 준비를 위해 방콕, 태국을 방문.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ESCAP), 아태장애개발센터(APCD), 태국장애인지원청 (DEP)과 업무 협약과 실무자 그룹 회의를 진행했으며, 이후 논타부리 장애인 자립생활센터와 지적발달장애인부모회 관계자와 민간 레벨 프로그램 교환과 협력 강화를 위한 간담회 시간을 가졌다.

 

27일 국내 장애계 최초 아태장애개발센터(APCD) 초청으로 방문한 한국DPI는 유엔장애인권리협약(CRPD)에 기반 한 아․태지역 장애인의 권익옹호와 자카르타 선언 이행을 위한 활동 등의 내용으로‘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한국DPI 이영석 회장은“인천전략 과정과 결과에 대해 아쉬움이 있지만 새로운 아․태 10년은 아태장애개발센터(APCD)와의 협력관계를 발전시켜 의미있는 결과를 이뤄낼 수 있을 것”이라는 의지를 전달했다.

 

28일 유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UNESCAP) 관계자들과 자카르타 선언 이행을 위한 아태장애인연합(AP-DPO United) 활동 재개와 한국DPI 유엔장애인권리협약(CRPD) 이행을 위한 아태장애개발센터(APCD)와의 협력 프로그램에 대한 간담회를 진행했다.

 

 

사회개발부 성평등 사회통합부 Cai Cai 부장은“새로운 아태 10년 자카르타 선언 이행 전략안에는 유엔장애인권리협약(CRPD) 모니터링 업무 조항이 들어가 있다.

한국 정부와 한국DPI의 유엔장애인권리협약(CRPD) 모니터링 업무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아․태국가들과 공유하면서 실질적 협력관계로 발전시켜 나가 줄 것과 공여국으로써의 역할도 함께 해줄 것을 요청한다”라고 전달했다.

 

이후 태국장애인지원청(DEP) 고위 관계자 간담회를 통해 태국 장애인 현황, 복지정책과 서비스 및 태국 내 유엔장애인권리협약(CRPD) 이행 현황을 전달받았다.

2016년 태국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CRPD) 1차 국가보고서를 제출하였으며, 24년 10월 2․3차 보고서 제출을 앞둔 시점과 장애계 상황을 전달하면서 태국장애인지원청(DEP)과 아태장애개발센터(APCD)가 분야별 보고서 작성 업무를 진행하고 있으며 한국 사례에 대한 벤치마킹할 기회를 얻고 싶다는 내용을 전달했었다.

 

이후 일정에는 태국 논탄부리 장애인자립생활센터와 지적발달장애인부모회를 방문해 관계자들과 기관 소개 및 양국의 장애인 정책과 환경에 대한 논의의 시간을 가졌다.

 

비록 양국의 경제 ․ 사회 ․ 문화적 배경과 제반 여건은 다르지만, 장애인의 인권 수호와 권익옹호를 위한 가치 전달과 행동 방식에는 차이가 없음을 확인했다.

 

 

영등포문화재단, 꿈의 오케스트라 여름캠프 운영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영등포문화재단(대표이사 이건왕)은 오는 8월 4일부터 영등포아트홀에서 ‘꿈의 오케스트라 영등포’ 단원들을 위한 무박 2일 여름캠프를 개최한다. 이번 캠프는 강사 20여 명과 지역 청소년 단원 60명이 예술 감수성과 사회성 향상을 목표로, 그룹별 게임과 집중 합주 연습 등 체험형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이번 캠프는 단원들의 집중도 있는 합주 연습을 중심으로, 타악 워크숍, 바디퍼커션, 게임 중심 체육활동 등 아이들이 신체 활동을 통해 리듬감을 익히고 합주에 자연스럽게 몰입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특히 국내 최고 수준의 KBS교향악단 강사진이 참여해, 단원들과 함께 그룹을 이루는 게임형 협동 프로그램을 진행하며 친밀감을 쌓고 협업의 즐거움을 경험하는 시간도 마련된다. 또한 캠프 마지막 날에는 학부모 참관 시간이 운영되어, 아이들이 함께 연습하는 모습을 직접 지켜보며 그동안의 성장 과정을 함께 나누는 자리로 이어질 예정이다. ‘꿈의 오케스트라 영등포’ 여름캠프는 방학 기간 발생하는 돌봄 공백과 문화격차 해소에 기여하는 공공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전체 단원의 약 80%가 다자녀 등 문화소외계층 청소년으로 구성돼 있으며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