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문화

서울시, ‘광화문 역사산책’ 실시

  • 등록 2019.09.09 10:31:06

[영등포신문=신예은 기자] 서울시 광화문광장추진단은 광화문시민위원회 시민참여단을 대상으로 역사전문가와 함께 경복궁과 광화문 일대를 함께 걷는 ‘광화문 역사 산책’을 운영한다. 경복궁과 더불어 광화문 일대의 문화유산이 갖는 의미와 일제 강점기 훼손된 역사를 다시 돌아보는 투어 프로그램이다.

 

‘광화문 역사산책’은 경복궁 복원의 일환으로 광화문 월대와 해태, 동·서십자각 등 문화재 복원 사업을 추진해 온 문화재청과 공동으로 운영한다. ‘광화문 역사 산책’은 기존의 경복궁 입구에서 내부로 이동하는 경복궁 투어코스와 차별화된 경복궁의 북문인 신무문에서 근정전 광화문으로 이어지는 코스다.

 

이번 ‘광화문 역사산책’을 소개 할 광화문시민위원회 역사관광분과 위원인 안창모 경기대 교수는 “이번 역사 산책을 통해 조선시대의 이념을 볼 수 있고, 경복궁과 광화문의 입체적 그림이 그려질 것”이라고 말했다. 역사산책 후에는 참가자와 함께 광화문광장 내 해치마당 소통방으로 이동하여 역사산책에 대한 참여소감 공유 및 역사광장 복원의 필요성 등에 대한 토론을 진행할 예정이다.

 

광화문시민위원회 시민참여단을 대상으로 9일 처음 선보이는 ‘광화문 역사 산책’은 광화문광장 재구조화사업의 이해를 돕고자 서울시가 처음으로 기획하고 준비한 자리로 향후 다양한 콘텐츠를 가지고 일반시민 대상으로 확대 운영 할 예정이다. 일정은 추후 광화문광장 홈페이지(gwanghwamun.seoul.go.kr)에서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서울시는 광화문 일대 역사적 의미와 복원 필요성을 알리기 위해 지난 4월부터 시민참여단과 일반시민 대상으로 매월 넷째 주 수요일 역사인문학 강좌도 운영해 오고 있다. 역사인문학 강좌는 대한성공회 성가수녀원에서 12월까지 운영할 예정으로 도시재생실 공식페이스북(www.facebook.com/seoulurban)을 통해 접수할 수 있다.

 

조영창 서울시 광장기획반장은 “요즘 역사광장 조성 필요성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다”면서 “역사 복원은 우리 역사의 자긍심을 고취하고 미래 세대에게 올바른 역사 인식을 전달하기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한 “월대복원은 단순히 과거의 재현이 아닌 복원된 월대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과거와 현재, 미래를 이어주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용노동부 서울남부지청, 임금체불 예방 위한 현장점검 실시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고용노동부 서울남부지청(지청장 송민선)은 지난 6월 16일부터 27일까지 2주간 ‘현장 예방점검의 날’을 운영하며, 노무관리가 취약한 중소규모 사업장과 건설업체를 대상으로 노동법 위반 여부에 대한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강서구, 양천구, 영등포구에 소재한 30인 미만 사업장 113개소를 대상으로 진행했으며, 근로감독관이 직접 사업장을 방문해 임금 체불, 근로계약서 작성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점검했는데, 44개 사업장에서 총 64건의 임금 및 퇴직금 체불 사례가 적발됐고, 12억 7,400만 원에 달하는 체불액을 근로자에게 지급하도록 시정지시했다. 특히 근로감독관들은 사업장에 실효성있는 노무관리 방법에 대하여 지도하면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업체들에는 사업주 융자제도를 안내하며 체불 임금을 청산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독려했다. 이번 점검 결과는 여전히 많은 사업장들이 노동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노무관리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개정된 법 내용에 대한 지식 부족, 수당 계산 방식에 대한 미숙한 이해, 경영상의 어려움 등이 체불의 주요 원인으로 파악됐다. 실제로 점검을 받은 A사 대표는 “회계연도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