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10.27 (금)

  • 구름많음동두천 18.1℃
  • 흐림강릉 14.0℃
  • 구름많음서울 18.1℃
  • 구름많음대전 17.2℃
  • 구름많음대구 18.1℃
  • 구름조금울산 18.7℃
  • 맑음광주 18.7℃
  • 맑음부산 21.8℃
  • 맑음고창 17.5℃
  • 맑음제주 20.7℃
  • 맑음강화 18.5℃
  • 흐림보은 16.9℃
  • 구름많음금산 17.2℃
  • -강진군 19.3℃
  • 구름많음경주시 19.9℃
  • 맑음거제 19.9℃
기상청 제공

사회

7월 고용보험 증가폭 소폭 축소

  • 등록 2023.08.07 14:25:53

 

[영등포신문=신민수 기자] 지난달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폭이 감소했다.

 

7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노동시장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고용보험 상시 가입자는 1,519만7천 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37만2천 명(2.5%) 증가했다.

 

가입자 증가폭은 최근 3개월 동안 5월 36만7천 명, 6월 37만5천 명, 지난달 37만2천 명으로 37만 명 안팎 수준이었다.

 

늘어난 가입자 가운데 35.2%는 외국인근로자였다. 지난달 말 기준 고용보험 당연적용 외국인근로자는 19만명으로 작년 동기 대비 13만1천명 많아졌다.

 

 

비전문 취업비자(E-9)와 방문취업비자(H-2) 등 고용허가제로 한국에 들어온 외국인에 대한 고용보험 가입 의무가 확대됐기 때문이다.

 

외국인 근로자의 고용보험 가입 의무는 2021년 상시근로자 30인 이상 사업장에 적용됐고, 올해는 10인 미만 사업장까지 확대됐다.

 

고용보험 가입 의무 확대 영향은 외국인근로자 89.7%가 종사하는 제조업에서 두드러졌다.

 

지난달 제조업 부문 고용보험 가입자는 11만8천 명 증가한 381만4천 명이었는데, 외국인근로자 증가분 11만4천 명을 제외하면 4천 명 늘어난 것에 그쳤다.

 

노동부 관계자는 "금속가공, 고무·플라스틱, 기계장비, 자동차 등에 (외국인 가입 증가가) 가장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수출감소 폭이 완화하고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도 있어 내국인이 채워진 영향도 있다"고 설명했다.

 

 

서비스업 부문 가입자는 작년 동월 대비 24만3천 명(2.4%) 증가한 1,045만8천 명으로 집계됐다.

 

대면 활동이 정상화하면서 보건복지업, 숙박음식업 가입자는 1년 전보다 각각 10만7천 명, 5만 명 증가했다. 정부 일자리 사업 축소에 따른 영향이 완화하면서 공공행정 부문은 가입자 감소폭이 줄고 교육서비스 부문은 증가세로 전환됐다.

 

전체 고용보험 가입자를 연령대별로 보면 29세 이하는 249만2천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3만1천명 감소해 11개월 연속 감소세를 그렸다.

 

나머지 연령대는 가입자가 늘었다. 증가폭은 60세 이상(22만 명), 50대(10만 명), 30대(7만2천 명), 40대(1만1천 명) 순으로 컸다.

 

실업자 구직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고용보험기금으로 지급하는 구직급여(실업급여) 신청자는 10만4천 명으로 작년 동월 대비 4천 명(4.4%)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구직급여 지급액은 9,582억 원으로 446억 원(4.9%) 늘었다. 수급자는 2만1천 명(3.4%) 증가한 63만4천 명이었다.

 

노동부가 매월 발표하는 노동시장 동향은 고용보험 가입자 중 상용직과 임시직 노동자를 대상으로 한 것으로, 특수고용직·플랫폼 종사자, 자영업자, 초단시간 노동자 등은 제외된다.

 

고용보험은 불가피하게 직장을 잃게 된 경우 구직활동, 재교육을 지원하는 사회보험이다. 건강보험, 국민연금, 산재보험과 함께 4대 보험의 하나로, 고용보험이 적용되는 사업에 고용된 모든 근로자가 의무 가입 대상이다.

 

이소라 시의원, “신촌역세권청년주택 불투명창 청년 입주민 세대의 끝없는 노력의 결실”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서울시의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소라 부위원장(더불어민주당, 비례대표)은 지난 26일 일명 ‘절반 가린 불투명 창문’ 문제가 불거졌던 ‘이랜드신촌청년주택’의 청년입주자들의 요구사항이 수용 결정 된 데 환영 의사를 밝혔다. 지난해 9월 이소라 시의원은 이은주 국회의원실, 서울시 관계부서, 임대인, 건설사, 이랜드 관계자 등 13여명이 참석한 ‘청년주택 주거환경 보장을 위한 관계자 간담회’에 참석해, “청년주택의 실질적인 주거권 보장을 위해 서울시를 비롯한 관계자의 갈등 해결 의지가 필요하다”며 서울시에 관련 자료요구를 통해 청년 민원사항을 지적, 개선을 요구했다. 서울시의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은 대중교통이 편리한 역세권 인근에 청년주택을 건설해 시세 대비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하는 사업으로, 21년 입주한 ‘신촌청년주택’ 의 경우 인근 지역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200여개의 방 창문 절반이 불투명으로 막혀있는 채로 건설돼 문제가 불거진 바 있다. 이에 청년입주자들로 구성된 주민대책위원회는 이소라 시의원 등 관계자 약 13명과 간담회를 개최하고, 간담회를 통해 ‘주민투표로 확정된 요구안을 기초로 협상해 나가겠다’는 결론이 합의·도출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