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9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종합

30대 10명 중 4명은 미혼… 3040 '캥거루족' 65만명

  • 등록 2021.09.27 16:20:42

[영등포신문=신예은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성인 가운데 314만명은 부모의 경제적 도움을 받아 생활했으며, 이 가운데 65만명은 한창 일할 나이인 30~40대로 나타났다. 또, 30대 미혼 인구 비중은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고, 성인의 사회활동 참여율은 역대 최저치로 떨어진 것으로 집계됐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20 인구주택총조사 - 인구·가구 기본 항목'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 20세 이상 인구 가운데 1,783만3천명(42.9%)은 본인의 일이나 직업으로 생활비 원천을 마련했다.

 

그 뒤를 이어 배우자의 일·직업으로 생활한 사람이 419만9천명(10.1%), 부모의 도움을 받아 생활한 '캥거루족'이 313만9천명(7.5%), 금융자산으로 생활한 사람이 196만명(4.7%), 국가·지자체 보조로 생활한 사람이 150만9천명(3.6%), 부동산 등 실물자산으로 생활비를 마련한 사람이 62만9천명(1.5%) 순으로 집계됐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본인의 일로 생활비를 마련한 사람의 비중이 54.4%, 여성은 남성보다 22.5%포인트 낮은 31.9%로 나타났다.

 

 

여성은 배우자의 일·직업 비중(18.0%)이 남성(1.8%)보다 16.2%포인트 높았다.

 

연령별로 보면 20대의 경우 부모의 도움을 받아 생활한 사람의 비중이 38.9%로 전체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았다.

 

30대는 56.5%가 직접 일해 생활비를 마련했으나, 7.0%는 여전히 부모의 도움을 받아 생활한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중 2.2%는 부모의 도움으로 생활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30~40대 중 부모의 도움을 받아 생활한 사람은 65만명에 달했다.

 

 

부모의 도움으로 생활하는 성인 캥거루족(313만9천명) 5명 중 1명(20.7%)은 3040세대인 것이다.

 

60세 이상의 경우 공적연금 11.2%, 국가·지자체 보조 11.1%, 자녀의 도움 10.7%으로 집계됐다. 생활비를 마련한 사람의 비중이 높았다.

 

60세 이상 고령자 중 생활비를 스스로 마련한 사람의 비중은 지난 2015년 직전 조사보다 8%포인트 상승한 57.7%로 집계됐다.

 

그리고 공적연금 11.2%, 국가·지자체 보조 11.1%, 자녀의 도움 10.7%으로 집계됐다.

 

15세 이상 인구의 혼인 상태를 보면 기혼자가 2,457만5천명(55.9%)으로 가장 많았으며, 미혼이 1,368만8천명(31.1%), 사별 314만8천명(7.2%), 이혼 254만5천명(5.8%) 순으로 나타났다.

 

30세 이상 인구 중 미혼 인구 비중은 14.7%로, 2015년(13.2%)보다 1.5%포인트 증가했다.

 

2030 청년층은 물론 40·50대 중장년층, 60세 이상 고령층 등 모든 연령대에서 미혼 인구 비중이 증가했다.

 

30대의 경우 미혼 인구 비중이 지난 1990년 6.8%에서 2000년 13.4%, 2010년 29.2%, 2020년 42.5% 등으로 계속 증가해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30대 인구 10명 중 4명은 미혼자로, 특히 30대 남성의 미혼자 비중은 절반 이상인 50.8%로 나타났다.

 

교육 정도별로는 30세 이상 남성의 경우 2·3년제 대학 졸업자의 미혼 인구 비중(27.3%)이 가장 높았으나, 여성은 대학원 졸업자의 미혼율(22.1%)이 가장 높았다.'

 

20세 이상 성인이 사회·경제·정치·종교·친목 활동 등 사회활동에 참여한 비율은 29.8%로 집계됐다. 이는 2010년 33.7%에서 2015년 31.1%, 2020년 29.8%로 지속해서 감소하며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1인 가구의 경우 사회활동 참여율은 전체 참여율보다 낮은 26.4%에 그쳤다.

 

대학원 졸업자의 경우 참여율이 46.8%, 4년제 이상 대학교 졸업자는 35.4%에 달해 사회활동 참여율은 교육 수준이 올라갈수록 높아졌다.

 

성별로는 남성의 사회활동 참여율은 31.7%, 여성은 27.8%로 집계됐다.

 

30세 이상 인구 중 대학 이상 졸업자는 1,506만명(43.1%)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를 이어 고등학교 졸업(36.1%), 중학교 졸업(9.1%), 초등학교 졸업(8.2%) 순으로 나타났다.

 

대학 이상 졸업 인구의 비중은 지난 2010년 32.4%보다 10.7%포인트 증가한 43.1%로 집계됐다.

 

여성 대졸 이상 인구 비중 44.8%로 여전히 남성 55.2%보다 낮았다.

 

15세 이상 인구 가운데 활동에 제약이 있는 인구는 298만9천명, 돌봄이 필요한 인구는 135만1천명으로 집계됐다.

 

이들 가운데 돌볼 사람이 아예 없는 경우도 13만2천명(9.8%) 있었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과 업무협약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서울시여성가족재단(대표이사 박정숙)이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원장 김삼화)과 8일, 양성평등 및 폭력예방 의식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업무협약식은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박정숙 대표이사와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김삼화 원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시여성가족재단에서 진행됐다.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양성평등 실현과 서울 여성·가족을 위한 일·돌봄·안전 지원 플랫폼으로서 2002년 설립된 출연기관으로, 시민과 공무원을 위한 양성평등 교육과 피해시민 관점의 폭력 피해를 지원하고 예방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은 ‘양성평등기본법’ 제46조에 의거해 양성평등 교육과 문화의 전문 플랫폼으로서 다양한 교육과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양성평등 교육 및 폭력예방 교육 전문강사 양성·관리와 함께 아동·청소년 대상 디지털성범죄 예방 콘텐츠 개발·보급을 추진하고 있다. 협약의 주 내용은 △양성평등 교육 전문강사 양성사업의 교육 협력 △폭력예방 교육 콘텐츠 활용 협력 등이다. 이번 협약은 양 기관이 보유한 전문성과 자원을 바탕으로 양성평등 교육 전문강사 양성사업을 공동 추진하고, 서울시민 누구나 양질의 폭력예방 교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