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2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종합

65세 이상 월평균 연금액 65만 원…20%는 25만 원 미달

  • 등록 2024.08.22 17:22:53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2022년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의 연금액은 월평균 65만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최대지급액보다는 조금 많지만 1인 노후 최소 생활비에는 크게 미달하는 수준이다.

 

특히 미취업자의 절반, 무주택자 넷 중 하나는 연금에 전혀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2일 이런 내용의 '2022년 연금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기초·국민·직역(공무원·군인·사학·별정우체국)·주택연금 등 11종의 공·사적 연금 데이터를 연계·분석한 결과다.

 

 

2022년 기초연금·국민연금·직역연금 등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65세 이상 인구는 818만2천명으로 연급 수급률은 90.4%였다.

 

연금 수급률은 전년(90.1%)보다 0.3%포인트(p) 상승했다. 연금 수급자가 늘면서 수급률 역시 2016년 이후 지속해서 상승세다.

 

연금을 2개 이상 수급한 수급자 비율은 36.0%로 전년(34.4%)보다 상승했다.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전년(60만 원)보다 8.3% 늘어난 65만 원이었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최대지급액(월 62만3천368원)보다는 조금 많지만 개인 노후 최소 생활비(국민연금연구원·124만3천원)에는 크게 미치지 못한다.

 

 

연금 수급액은 25만∼50만 원대가 40.4%로 가장 비중이 컸고 50만∼100만 원(27.5%), 25만 원 미만(19.9%) 등 순이었다.

 

등록취업자는 월평균 74만5천 원, 미등록자는 61만1천 원의 연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급률은 각각 92.3%, 89.7%였다.

 

주택을 소유한 수급자의 수급액은 82만5천 원, 무주택 수급자는 50만8천 원이었다. 수급률은 각각 90.9%, 90.1%로 집계됐다.

 

18∼59세 연금 가입률은 80.2%로 전년(78.8%)보다 상승했고 2개 이상 중복 가입률은 32.2%로 전년(32.3%)보다 소폭 하락했다.

 

월평균 보험료는 31만8천 원으로 전년(32만9천 원)보다 3.2% 감소했다. 통계 표본이 확대된 점이 주된 영향을 미쳤다.

 

18∼59세 등록 취업자의 연금 가입률은 94.5%로 월평균 36만4천 원의 보험료를 냈다.

 

반면 미등록자의 연급 가입률은 50.8%에 그쳤다. 이들이 낸 월평균 보험료는 14만5천 원이었다.

 

18∼59세 주택 소유자의 연금 가입률은 91.4%, 월평균 보험료는 41만3천 원이었다. 주택 미소유자의 가입률은 75.5%, 월평균 보험료는 27만 원으로 집계됐다.

 

연금 종류별로 살펴보면 기초연금 수급자가 616만8천 명으로 가장 많았다.

 

기초연금 수급자는 2016년 458만8천 명에서 지속 증가해 2021년 593만2천 명을 기록했고 2022년 600만 명을 넘겼다.

 

국민연금 수급자는 435만3천 명으로 집계됐다. 마찬가지로 매년 증가세다. 2016년(252만6천 명)과 비교하면 1.7배 수준으로 늘었다.

 

월평균 수급액은 기초연금이 27만9천 원, 국민연금이 41만3천 원으로 나타났다.

 

직역연금이 252만3천원으로 가장 높았다. 퇴직연금은 158만3천 원, 농지연금 130만6천 원, 주택연금 121만6천 원 등이었다.

 

2022년 국민연금과 퇴직연금 가입자는 각각 2천162만8천 명, 740만6천 명으로 나타났다. 중복가입을 포함한 전체 가입자 수가 2,382만6천 명임을 고려할 때 두 연금 가입자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는 국민연금이 22만3천 원, 개인연금이 27만3천 원으로 집계됐다.

 

가입 기간별로는 국민연금은 10∼20년 가입 후 수급자(214만7천 명), 직역연금은 30년 이상 가입 후 수급자(26만5천 명)의 비중이 컸다.

 

가구로 보면 연금 받는 사람이 1명 이상 있는 가구(연금 수급가구)는 619만 가구다. 수급률은 95.6%로, 월평균 83만8천 원을 받는다.

 

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가구 중에서 연금 수급자가 없는 가구(연금 미수급가구)는 28만8천 가구로 나타났다.

 

1인 가구 중에 연금을 받는 가구는 185만7천 가구다. 월평균 58만 원을 받는다.

 

1인 연금 수급가구의 수급액 구성비는 25만∼50만 원대가 57.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50만~100만 원(29.2%), 25만 원 미만(5.4%) 순이었다.

 

연금을 받지 않는 가구는 11만7천 가구다.

 

통계청 김지은 행정통계과장은 "각 연금제도가 성숙하면서 수급률이나 수급자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영등포구, ‘2025 친선도시 어린이 문화체험단 환영식’ 개최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영등포구는 12일 오후 구청별관 5층 강당에서 ‘2025 친선도시 어린이 문화체험단 환영식‘을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1995년 구와 친선 결연 후 지속적으로 교류를 이어오고 있는 ‘전남 영암군의 어린이 문화체험단’을 초청해, 두 도시의 어린이들이 서로의 문화를 체험하고 우의를 다지는 시간을 갖고자 마련됐다. 이날 환영식에는 최호권 구청장을 비롯해 구와 영암군 관계자, 문화체험단 참여학생, 학부모 등이 함께했다. 먼저 현희(영등포구)·박라온(영암군) 학생이 양 지역을 대표해 문화체험 기간 동안 자신의 이익과 편의보다 서로를 먼저 생각하고 배려해 친교와 우의를 돈독히 할 것을 선서했다. 이어 최호권 구청장은 환영사를 통해 “멀리 영암에서 영등포구를 방문해 준 영암군 어린이들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새로운 친구들과 함께 다양한 경험을 쌓고 견문을 넓히는 좋은 기회가 되길 바라며, 두 도시 간 우정과 협력이 지속되길 기대한다”고 당부했다. 영등포구 및 영암군 초등학생 5~6학년으로 구성된 어린이 문화체험단 30명은 5월 12일과 13일 이틀간, KBS ON 견학홀, 여의도공원, N서울타워 등 서울의 명소를 방문하고 뮤지컬 점프를 관람한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