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9 (화)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종합

65세 이상 월평균 연금액 65만 원…20%는 25만 원 미달

  • 등록 2024.08.22 17:22:53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2022년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의 연금액은 월평균 65만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최대지급액보다는 조금 많지만 1인 노후 최소 생활비에는 크게 미달하는 수준이다.

 

특히 미취업자의 절반, 무주택자 넷 중 하나는 연금에 전혀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2일 이런 내용의 '2022년 연금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기초·국민·직역(공무원·군인·사학·별정우체국)·주택연금 등 11종의 공·사적 연금 데이터를 연계·분석한 결과다.

 

 

2022년 기초연금·국민연금·직역연금 등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65세 이상 인구는 818만2천명으로 연급 수급률은 90.4%였다.

 

연금 수급률은 전년(90.1%)보다 0.3%포인트(p) 상승했다. 연금 수급자가 늘면서 수급률 역시 2016년 이후 지속해서 상승세다.

 

연금을 2개 이상 수급한 수급자 비율은 36.0%로 전년(34.4%)보다 상승했다.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전년(60만 원)보다 8.3% 늘어난 65만 원이었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최대지급액(월 62만3천368원)보다는 조금 많지만 개인 노후 최소 생활비(국민연금연구원·124만3천원)에는 크게 미치지 못한다.

 

 

연금 수급액은 25만∼50만 원대가 40.4%로 가장 비중이 컸고 50만∼100만 원(27.5%), 25만 원 미만(19.9%) 등 순이었다.

 

등록취업자는 월평균 74만5천 원, 미등록자는 61만1천 원의 연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급률은 각각 92.3%, 89.7%였다.

 

주택을 소유한 수급자의 수급액은 82만5천 원, 무주택 수급자는 50만8천 원이었다. 수급률은 각각 90.9%, 90.1%로 집계됐다.

 

18∼59세 연금 가입률은 80.2%로 전년(78.8%)보다 상승했고 2개 이상 중복 가입률은 32.2%로 전년(32.3%)보다 소폭 하락했다.

 

월평균 보험료는 31만8천 원으로 전년(32만9천 원)보다 3.2% 감소했다. 통계 표본이 확대된 점이 주된 영향을 미쳤다.

 

18∼59세 등록 취업자의 연금 가입률은 94.5%로 월평균 36만4천 원의 보험료를 냈다.

 

반면 미등록자의 연급 가입률은 50.8%에 그쳤다. 이들이 낸 월평균 보험료는 14만5천 원이었다.

 

18∼59세 주택 소유자의 연금 가입률은 91.4%, 월평균 보험료는 41만3천 원이었다. 주택 미소유자의 가입률은 75.5%, 월평균 보험료는 27만 원으로 집계됐다.

 

연금 종류별로 살펴보면 기초연금 수급자가 616만8천 명으로 가장 많았다.

 

기초연금 수급자는 2016년 458만8천 명에서 지속 증가해 2021년 593만2천 명을 기록했고 2022년 600만 명을 넘겼다.

 

국민연금 수급자는 435만3천 명으로 집계됐다. 마찬가지로 매년 증가세다. 2016년(252만6천 명)과 비교하면 1.7배 수준으로 늘었다.

 

월평균 수급액은 기초연금이 27만9천 원, 국민연금이 41만3천 원으로 나타났다.

 

직역연금이 252만3천원으로 가장 높았다. 퇴직연금은 158만3천 원, 농지연금 130만6천 원, 주택연금 121만6천 원 등이었다.

 

2022년 국민연금과 퇴직연금 가입자는 각각 2천162만8천 명, 740만6천 명으로 나타났다. 중복가입을 포함한 전체 가입자 수가 2,382만6천 명임을 고려할 때 두 연금 가입자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는 국민연금이 22만3천 원, 개인연금이 27만3천 원으로 집계됐다.

 

가입 기간별로는 국민연금은 10∼20년 가입 후 수급자(214만7천 명), 직역연금은 30년 이상 가입 후 수급자(26만5천 명)의 비중이 컸다.

 

가구로 보면 연금 받는 사람이 1명 이상 있는 가구(연금 수급가구)는 619만 가구다. 수급률은 95.6%로, 월평균 83만8천 원을 받는다.

 

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가구 중에서 연금 수급자가 없는 가구(연금 미수급가구)는 28만8천 가구로 나타났다.

 

1인 가구 중에 연금을 받는 가구는 185만7천 가구다. 월평균 58만 원을 받는다.

 

1인 연금 수급가구의 수급액 구성비는 25만∼50만 원대가 57.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50만~100만 원(29.2%), 25만 원 미만(5.4%) 순이었다.

 

연금을 받지 않는 가구는 11만7천 가구다.

 

통계청 김지은 행정통계과장은 "각 연금제도가 성숙하면서 수급률이나 수급자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구립영중작은복지센터, 1·3세대통합 공예 특강 ‘손잇사이’ 운영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구립 영중작은복지센터(센터장 엄하나)는 세대 간 교류가 줄어들고 단절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서로 다른 세대가 자연스럽게 만나고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기 위해 세대통합 특강 프로그램 ‘손잇사이: 손과 손 사이, 세대를 잇다’를 진행했다. ‘손잇사이’는 아동과 어르신이 서로 도와가며 함께 만들기를 진행하는 방식으로 구성됐으며, 어르신 15명과 아동 15명, 총 30명의 참여자가 세대 간 이해와 소통을 촉진하고 상호 협력을 통해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기획됐다. 아동과 어르신들은 ▲원목 타일 쟁반 만들기 ▲글라스아트 도어벨 만들기 ▲라탄바구니 만들기 공예 활동을 함께 이어가며 점차 마음을 열고 자연스럽게 대화를 나누고 서로를 도우며, 따뜻하고 유쾌한 세대 간 교류의 장을 만들어갔다. 한 어르신은 “오랜만에 무언가를 손으로 만들어보는 경험도 좋았지만, 아이들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세대 간 정을 느낄 수 있어 더욱 의미 있었다”고 전했으며, 한 아동은 “처음 만난 할머니였지만 우리 할머니처럼 친절하게 도와주셔서 낯설지 않고 따뜻한 시간이었던 것 같다”고 소감을 전했다. 구립영중작은복지센터 관계자는 “서로 다른 세

구립영등포어르신복지센터, ‘2025 양성평등기금사업’ 진행

[영등포신문=신민수 기자] 구립영등포어르신복지센터(센터장 엄하나)는 지난 5월 8일부터 8월 7일까지 노년기 양성평등실현을 위한 ‘모두가 주인공이 되는 무대, 함께라서 빛나’ 사업으로 함께 읽는 소리 ‘평등책방’, 우리 함께 만드는 행복한 하모니 ‘싱어게인(합창)’, 더불어 사는 소리 ‘어화세상,벗님네야(판소리)’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2025년 영등포구 양성평등기금사업은 문학, 음악 등 다양한 예술활동으로 ‘화합과 조화’로운 관계 속에서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높여 양성평등문화를 확산하고자 기획된 사업이다. 독립적이고 주체적인 노년기의 의미있는 삶에 대한 탐색과 조화와 화합으로 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높여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재구성하면서 ▲양귀자의 모순, 김연숙의 나, 참 쓸모 있는 인간 등 문학 작품으로 우리 사회의 차별적 요소를 찾아 함께 이야기 나누며 주체적이고 존엄한 삶의 방식을 탐색하는 ‘평등책방’ 독서토론 ▲반딧불, 흰수염 고래, 걱정말아요 등 ‘조화와 화합’ 주제 ‘싱어게인’ 합창 발표회 ▲우리의 소리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고, 타인의 소리에 집중하면서 자신의 목소리를 찾는 ‘어화세상, 벗님네야’ 판소리를 완성하면서 서로의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