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종합

65세 이상 월평균 연금액 65만 원…20%는 25만 원 미달

  • 등록 2024.08.22 17:22:53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2022년 65세 이상 연금 수급자의 연금액은 월평균 65만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최대지급액보다는 조금 많지만 1인 노후 최소 생활비에는 크게 미달하는 수준이다.

 

특히 미취업자의 절반, 무주택자 넷 중 하나는 연금에 전혀 가입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통계청은 22일 이런 내용의 '2022년 연금통계 결과'를 발표했다. 기초·국민·직역(공무원·군인·사학·별정우체국)·주택연금 등 11종의 공·사적 연금 데이터를 연계·분석한 결과다.

 

 

2022년 기초연금·국민연금·직역연금 등 연금을 1개 이상 수급한 65세 이상 인구는 818만2천명으로 연급 수급률은 90.4%였다.

 

연금 수급률은 전년(90.1%)보다 0.3%포인트(p) 상승했다. 연금 수급자가 늘면서 수급률 역시 2016년 이후 지속해서 상승세다.

 

연금을 2개 이상 수급한 수급자 비율은 36.0%로 전년(34.4%)보다 상승했다.

 

월평균 연금 수급액은 전년(60만 원)보다 8.3% 늘어난 65만 원이었다.

 

국민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최대지급액(월 62만3천368원)보다는 조금 많지만 개인 노후 최소 생활비(국민연금연구원·124만3천원)에는 크게 미치지 못한다.

 

 

연금 수급액은 25만∼50만 원대가 40.4%로 가장 비중이 컸고 50만∼100만 원(27.5%), 25만 원 미만(19.9%) 등 순이었다.

 

등록취업자는 월평균 74만5천 원, 미등록자는 61만1천 원의 연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급률은 각각 92.3%, 89.7%였다.

 

주택을 소유한 수급자의 수급액은 82만5천 원, 무주택 수급자는 50만8천 원이었다. 수급률은 각각 90.9%, 90.1%로 집계됐다.

 

18∼59세 연금 가입률은 80.2%로 전년(78.8%)보다 상승했고 2개 이상 중복 가입률은 32.2%로 전년(32.3%)보다 소폭 하락했다.

 

월평균 보험료는 31만8천 원으로 전년(32만9천 원)보다 3.2% 감소했다. 통계 표본이 확대된 점이 주된 영향을 미쳤다.

 

18∼59세 등록 취업자의 연금 가입률은 94.5%로 월평균 36만4천 원의 보험료를 냈다.

 

반면 미등록자의 연급 가입률은 50.8%에 그쳤다. 이들이 낸 월평균 보험료는 14만5천 원이었다.

 

18∼59세 주택 소유자의 연금 가입률은 91.4%, 월평균 보험료는 41만3천 원이었다. 주택 미소유자의 가입률은 75.5%, 월평균 보험료는 27만 원으로 집계됐다.

 

연금 종류별로 살펴보면 기초연금 수급자가 616만8천 명으로 가장 많았다.

 

기초연금 수급자는 2016년 458만8천 명에서 지속 증가해 2021년 593만2천 명을 기록했고 2022년 600만 명을 넘겼다.

 

국민연금 수급자는 435만3천 명으로 집계됐다. 마찬가지로 매년 증가세다. 2016년(252만6천 명)과 비교하면 1.7배 수준으로 늘었다.

 

월평균 수급액은 기초연금이 27만9천 원, 국민연금이 41만3천 원으로 나타났다.

 

직역연금이 252만3천원으로 가장 높았다. 퇴직연금은 158만3천 원, 농지연금 130만6천 원, 주택연금 121만6천 원 등이었다.

 

2022년 국민연금과 퇴직연금 가입자는 각각 2천162만8천 명, 740만6천 명으로 나타났다. 중복가입을 포함한 전체 가입자 수가 2,382만6천 명임을 고려할 때 두 연금 가입자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

 

가입자의 월평균 보험료는 국민연금이 22만3천 원, 개인연금이 27만3천 원으로 집계됐다.

 

가입 기간별로는 국민연금은 10∼20년 가입 후 수급자(214만7천 명), 직역연금은 30년 이상 가입 후 수급자(26만5천 명)의 비중이 컸다.

 

가구로 보면 연금 받는 사람이 1명 이상 있는 가구(연금 수급가구)는 619만 가구다. 수급률은 95.6%로, 월평균 83만8천 원을 받는다.

 

65세 이상 인구가 속한 가구 중에서 연금 수급자가 없는 가구(연금 미수급가구)는 28만8천 가구로 나타났다.

 

1인 가구 중에 연금을 받는 가구는 185만7천 가구다. 월평균 58만 원을 받는다.

 

1인 연금 수급가구의 수급액 구성비는 25만∼50만 원대가 57.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50만~100만 원(29.2%), 25만 원 미만(5.4%) 순이었다.

 

연금을 받지 않는 가구는 11만7천 가구다.

 

통계청 김지은 행정통계과장은 "각 연금제도가 성숙하면서 수급률이나 수급자가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소진공 직원이 아버지 회사에 1억2천만원 부당대출…검찰 송치"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소속 한 직원이 아버지가 운영하는 사업체에 1억원 넘는 정책자금을 부당 대출해준 사실이 적발됐다. 19일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이 소진공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직접대출 업무 담당 직원 A씨는 2020년 7월부터 지난해 1월까지 사적 이해관계를 신고하지 않고 세 차례에 걸쳐 1억2천만원을 대출해줬다. A씨는 아버지 회사 매출을 부풀리기 위해 사업체 두 곳이 마치 합병한 것처럼 서류를 조작했다. 이 과정에서 세금계산서를 급조해 발행했다가 취소한 뒤 취소하기 전 세금계산서를 매출 증빙자료로 제출했다. 이렇게 부당하게 실행된 대출금은 신청 목적인 스마트설비도입 자금 등이 아닌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을 창업하는 데 사용된 것으로 드러났다. A씨 아버지가 소진공으로부터 대출받은 금액은 A씨가 직접 실행한 1억2천만원을 포함해 1억5천600만원으로 전액 상환하지 않아 부실채권이 돼 새출발기금에 매각됐다. 소진공은 A씨에게 면직 요청을 했으며, 업무상 배임과 사기, 조세범죄처벌법 위반 혐의로 수사기관에 고발했다. A씨의 상급자에게도 경고 조처를 내렸다. 경찰은 지난 4월 A씨를 검찰에 송치했다. 소진공 관계자는 "내부 모

"이상식 배우자 허위 학력" 명예훼손 50대 항소심서 감형

[영등포신문=나재희 기자] 더불어민주당 이상식 의원의 아내가 학력을 위조했다며 명예훼손한 혐의로 재판에 넘겨져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은 50대 미술품 위탁판매업자가 항소심에서 벌금형으로 감형받았다. 이미지 확대 19일 법조계에 따르면 수원고법 형사3부(김종기 고법판사)는 공직선거법 위반, 명예훼손 혐의로 1심에서 징역 6월을 선고받은 A씨의 원심판결을 파기하고 벌금 600만원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범행에 가담한 혐의로 기소돼 1심에서 벌금 300만∼400만원을 선고받고 항소한 2명의 항소는 기각했다. 재판부는 "피고인이 자기 잘못을 인정하고 있고 이 사건 범행이 선거 결과에 미친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피고인이 당심에 이르러 피해자와 원만히 합의해 피해자가 피고인의 처벌을 원하지 않는다"고 판시했다. A씨 등은 지난해 3월 총선을 앞두고 당시 이상식 후보자가 당선되지 못하게 할 목적으로 선거사무소 앞에서 "후보자 배우자 B씨가 일본 와세다대학교를 졸업하지도 않았는데 마치 졸업한 것처럼 허위 학력을 내세워 활동한다"는 내용이 기재된 팻말을 들고 1인 시위를 한 혐의를 받는다. 그러나 B씨는 2014년 3월 와세다대학교를 졸업해 학사 학위를 받은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