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7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종합

지난해 개도국 공공부채 순이자 1,213조

  • 등록 2024.12.16 13:44:19

[영등포신문=신민수 기자] 개발도상국들의 공공부채가 지난해 이미 4경원 넘겼으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백악관 복귀 등 불확실한 대외 여건으로 이자 부담이 한층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15일(현지시간)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의 연례 부채 보고서를 인용해 개도국 공공부채가 10년간 2배 이상으로 증가, 지난해 29조 달러(약 4경 1천545조원) 수준에 이르렀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개도국들이 지난해 공공부채의 순이자로 낸 돈은 8천470억 달러(약 1천213조원)나 됐다.

 

세입의 10% 이상을 순이자 상환에 쓰는 국가는 54개국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고, 교육·보건보다 이자 상환에 더 많은 돈을 쓰는 개도국도 48개국이나 됐다. 이들 국가의 인구는 33억명에 달한다.

 

 

파키스탄·나이지리아 등은 세입의 30% 이상을 이자 지급에 쓴 것으로 파악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글로벌레이팅스 관계자는 "이자 부담이 엄청나다"면서 "그럭저럭해내고 있지만 위험이 크다"고 말했다.

 

트럼프 당선인의 재집권으로 미국 기준금리와 달러화 가치를 둘러싼 불확실성이 고조된 데다 지정학적 긴장 고조와 중국 경제 부진 우려 등도 개도국들에 불리한 요인이라는 게 블룸버그 설명이다.

 

모건스탠리가 금융정보업체 EPFR 자료를 집계한 결과 올해 신흥국 외화 부채에 투자하는 상품에서 빠져나간 자금이 140억 달러(약 20조원)를 넘기는 등 투자자들이 이미 개도국에서 자금을 거둬들이고 있다는 것이다.

 

다행히 올해 국가 부도에 빠진 국가는 한 곳도 없었으며, 모건스탠리 등은 국제통화기금(IMF)을 비롯한 국제기구 개입 등을 통해 내년에도 이러한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 당시 저금리로 빌린 자금의 만기가 다가오고 있고 이자 부담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시장에서는 이러한 흐름이 얼마나 유지될 수 있을지 우려하고 있다.

 

JP모건체이스는 신흥국과 관련해 향후 2년간 만기가 도래하는 외국 채권(유로본드) 규모가 1천900억 달러(약 272조원) 수준인 것으로 보고 있으며, 이미 신용등급이 낮은 일부 국가는 국제 시장에서 자금 조달 때 9% 이상 이자를 내고 있다.

 

S&P 측은 지난달 보고서를 통해 부채 수준과 이자 부담 등을 고려할 때 향후 10년간 디폴트(채무 불이행)가 늘어날 것으로 봤고, 세계은행 역시 가난한 국가들이 기록적 수준의 이자를 내고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오세훈 시장, ‘주택공급 활성화 위한 민‧관정책협의회’ 개최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오세훈 서울시장이 16일 오전 10시 서울시청 8층 간담회장에서 ‘서울시 정비사업연합회’ 소속 주민대표들과 ‘주택공급 활성화를 위한 민‧관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서울시 정비사업연합회’는 신속통합기획 재개발·재건축 구역 주민대표 63명으로 구성된 자발적 민간협의체다. 구역별 정비사업 추진과정을 공유하고 정책‧제도 개선 사항 논의가 운영 목적이다. 이날 간담회는 오세훈 서울시장을 비롯해 김병민 정무부시장, 최진석 주택실장, 김준형 주택정책수석 등 서울시의 주택정책과 정비사업을 담당하는 간부들이 참석했고, 연합회 측에서는 김준용 서울시 정비사업연합회 회장(대림1구역)과 정비구역을 대표하는 34명이 참석했다. 오 시장은 “서울시는 신속통합기획 등을 통해 불필요한 절차와 과정을 줄여 정비사업 기간을 6년 6개월 단축하는 기반을 마련하는 등 주택공급 활성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며 “서울시가 재개발, 재건축에 공을 들이고 애를 쓰는 이유는 신규주택을 꾸준히 공급하고 유지해야 주택시장이 안정화될 수 있고, 특히 서울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라고 말했다. 이어 “어제 정부 부동산안정화대책 발표로 분담금, 이주 등의 문제를 비롯해 갈등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