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등포신문=신민수 기자] 서울시복지재단은 돌봄SOS사업 수행 과정에서 현장 실무자가 보다 체계적이고 일관된 품질관리 기준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돌봄SOS 주거편의서비스(수리·보수) 가이드북’을 제작해 서울시 25개 자치구와 427개 전 동주민센터에 배포했다고 밝혔다.
서울시 ‘돌봄SOS’는 현재 427개 전 동주민센터에서 시행하고 있는 서울시 대표 긴급 돌봄 정책으로 시민의 긴급한 돌봄 욕구 해소를 위해 10대 맞춤형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가이드북은 고령자, 장애인 등 돌봄이 필요한 시민의 주거 불편사항을 개선하기 위한 실무자용 지침서로, 현장 중심의 품질관리 체계와 표준화된 서비스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내용은 ▲현장방문 체크리스트 ▲이용자 맞춤 포인트 ▲다빈도 수리·보수 항목 ▲불편사항별 해결책 ▲현장사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스타이머, 안전손잡이, 미끄럼방지 매트 등 다빈도 주거서비스 항목별 설치 기준과 안전관리 포인트를 구체적으로 제시했다.
또한 이용자의 연령, 장애유형, 주거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맞춤형 서비스 제공 기준과 실제 자치구 현장사례를 수록해 돌봄매니저와 제공기관 담당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현장형 실무가이드로 완성됐다. 특히 ‘수술 이후 회복기 중 낙상예방을 위한 안전손잡이 설치’, ‘시각장애인의 생활반경을 고려한 주거안전 개선’, ‘왼손잡이 맞춤 설치’ 등 현장에서 발생한 실제 사례를 통해 품질관리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돌봄SOS 주거편의서비스(수리·보수) 가이드북은 공유복지플랫폼(wish.welfare.seoul.kr)에서 PDF 파일 형태로 내려 받을 수 있다.
재단은 가이드북 배포와 함께 현장 실무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 11월 28일 ‘주거편의서비스 품질관리 실무교육’을 온라인(Zoom)으로 개최한다.
강의는 중랑구 제공기관 ‘콕집’ 김은지 대표가 진행하며, ‘노인 주택개조의 필요성’, ‘노화·장애 특성별 맞춤 서비스’, ‘공간별 제공사례’, ‘제품선택 및 시공 팁’ 등 현장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내용으로 구성된다.
유연희 사회서비스지원센터장은 “돌봄SOS 주거편의서비스는 시민의 안전과 직결된 생활밀착형 돌봄”이라며 “이번 가이드북과 교육을 통해 실무자의 전문성과 서비스 일관성을 높여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돌봄 품질 향상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