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종합

[기고] 사전투표, 그것이 알고 싶다

  • 등록 2020.03.18 11:50:15

사전투표,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신 독자들 중에서는 사전투표를 경험해 보신 분들도 있지만, 처음 들어본 분들도 있으리라 생각된다.

 

사전투표는 과거 부재자투표가 유권자의 투표편의를 제대로 보장해주지 못한다는 점을 보완하고, 유권자의 투표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부터 도입한 제도다.

 

부재자투표의 경우, 별도의 신고서를 우편 등으로 제출해야 했으며 투표소의 설치 단위도 구·시·군 단위로만 설치되어 있어 투표소를 찾아가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과거 부재자투표보다 절차도 훨씬 간단하고 편리해서 앞으로 많이 이용해야겠다라는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더군다나 본인 신분증만 소지하고 있으면 전국 어디서나 투표를 할 수 있다는 사실은 더욱 매력적인 부분임이 틀림없다는 생각이 든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각 지역 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인명부를 하나로 통합한 ‘통합선거인명부’를 작성하고, 이를 각 읍·면·동마다 1개소씩 설치한 사전투표소에서 조회할 수 있도록 통신망을 구성해 전국 어디에서든 투표가 가능하도록 만들어 놓은 게 현재의 사전투표다.

 

투표절차에 있어 선거일의 투표와 차이점이라면 선거인명부에 서명하는 절차가 ‘본인확인기’에 손도장 또는 서명을 입력하는 것으로 대체되었으며, 전국에서 하는 투표인만큼 관내사전투표(투표하고자 하는 사전투표소가 속해있는 지역구의 유권자)와 관외사전투표(투표하고자 하는 사전투표소가 속해있지 않은 지역구의 유권자)로 나뉘어 투표를 하게 된다는 정도가 되는데 이는 사전투표소 방문 시 상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간혹 유권자들 중에서는 ‘본인확인기’에 손도장을 입력하고 사전투표용지에 QR코드가 인쇄되는 것에 대해 선거인의 비밀투표를 침해 하는게 아닌지 의구심을 갖는 분이 있다.

 

그러나 QR코드에는 선거명과 선거구명, 관할선거관리위원회명 등 선거에 관한 정보만 들어갈 뿐 개인정보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한, ‘본인확인기’에 손도장을 날인하는 것은 개인의 생체정보를 사용해 선거인 본인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선거인이 투표용지를 받았다는 것을 증명해 이중투표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다. 손도장 날인을 원하지 않는 유권자는 서명으로 기록을 남겨도 된다.

 

4월 15일은 제21대 국회의원선거가 실시되는 날이다. 만약 투표일에 개인적인 사정 때문에 투표를 못할 것 같은 유권자는 4월 10일과 11일 이틀간 사전투표를 하면 된다.

 

 

신분증만 지참하시면 사전투표소가 설치된 곳이라면 전국 어디서나 투표에 참여하실 수 있다. 독자 분들의 적극적인 투표참여가 우리 영등포구를 더 살기 좋은 동네로 만들 수 있다는 생각을 가져주셨으면 한다.

 

대한교통장애인사랑나눔협회, 따뜻한 한방 삼계탕 나눔 행사

[영등포신문=장남선 시민기자] 대한교통장애인사랑나눔협회(회장 이계설)는 지난 7월 2일, 무더위를 이겨내기 위한 ‘삼계탕 나눔 행사’를 개최하고 한방 삼계탕 100그릇을 정성껏 준비해 교통장애인들에게 전달했다. 이번 행사는 단순한 음식 제공을 넘어, 교통사고로 인해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들에게 “당신은 결코 사회로부터 떨어져 있는 존재가 아니다”라는 따뜻한 메시지를 전하고자 마련됐다. 이계설 회장은 “경제적인 후원도 중요하지만, 우리 협회는 교통 장애인분들이 사회와의 연결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 데 더 큰 의미를 둔다”며 “작은 식사 한 그릇이지만, 그것이 단절이 아닌 연대의 상징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협회는 평소에도 지속적인 생필품 후원과 교통약자를 위한 캠페인, 안전교육 등을 통해 교통 장애인의 권익 보호와 인식 개선에 힘쓰고 있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류○○(56)씨는 “교통사고 이후 외부 활동이 줄어들면서 사람들과의 교류도 많이 끊겼다”며, “이렇게 따뜻하게 맞아주고, 함께 식사를 나눌 수 있어 정말 오랜만에 사람다운 기분이 들었다”고 말했다. 대한교통장애인사랑나눔협회는 앞으로도 지역 사회 내에서 소외된 이웃들과의 연대를 강화하고,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