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종합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2,176명 늘어나

  • 등록 2021.10.08 11:08:47

[영등포신문=신예은 기자]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8일 신규 확진자 수는 2,100명대 후반을 나타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2,176명 늘어 누적 32만7,976명이라고 밝혔다.

 

신규 확진자 수는 전날 2,425명보다 249명 줄었으나, 사흘 연속 2천명대를 기록했다.

 

목요일 확진자(금요일 0시 기준)로는 지난 1일 2,485명, 9월 24일 2,430명에 이어 세 번째로 큰 규모다.

 

 

그러나 전파력이 더 강한 인도 유래 '델타형' 변이 바이러스가 최근 유행을 주도하는 데다 오는 9일부터 11일까지 한글날 연휴에 가을 나들이 인파까지 맞물려 언제든 확진자 규모가 더 커질 수 있는 상황이다.

 

지난 7월 초 시작된 국내 4차 대유행은 석 달 넘게 이어지며 좀처럼 누그러지지 않고 있다.

 

전국 곳곳에서 확진자가 속출하면서 하루 확진자는 지난 7월 7일 1,211명 이후 94일 연속 네 자릿수로 집계됐다.

 

특히 인구가 밀집한 수도권에서는 연일 1천명대 확진자가 쏟아지며 전체 지역발생 확진자 가운데 차지하는 비중 또한 70%를 크게 웃돌아 추가 확산 우려가 큰 상황이다.

 

지역감염의 경우 서울 773명, 경기 753명, 인천 125명, 경북 77명, 충북 64명, 충남 59명, 경남 54명, 대구 45명, 부산 34명, 강원 32명, 대전 30명, 광주 25명, 전북 22명, 전남 17명, 울산 16명, 세종 10명, 제주 9명 등이 발생했다.

 

 

해외유입의 경우 14명은 공항이나 항만 검역 과정에서 확인됐고, 경기 6명, 서울·인천 각 3명, 충남 2명, 대전·강원·경남 각 1명이 지역 거주지나 임시생활시설에서 자가격리하던 중 양성 판정을 받았다.

 

유입추정국가는 필리핀 6명, 미얀마·미국 각 3명, 캄보디아·우크라이나 각 2명, 중국·키르기스스탄·인도네시아·우즈베키스탄·카자흐스탄·러시아·몽골·말레이시아·베트남·네팔·타지키스탄·카타르·이탈리아·캐나다·세네갈 각 1명이다. 이 가운데 내국인이 6명, 외국인이 25명이다.

 

전날보다 사망자는 10명 늘어 누적 2,554명이 됐고 위중증 환자는 2명 늘어 총 377명이다.

대한교통장애인사랑나눔협회, 따뜻한 한방 삼계탕 나눔 행사

[영등포신문=장남선 시민기자] 대한교통장애인사랑나눔협회(회장 이계설)는 지난 7월 2일, 무더위를 이겨내기 위한 ‘삼계탕 나눔 행사’를 개최하고 한방 삼계탕 100그릇을 정성껏 준비해 교통장애인들에게 전달했다. 이번 행사는 단순한 음식 제공을 넘어, 교통사고로 인해 신체적·정신적 어려움을 겪는 장애인들에게 “당신은 결코 사회로부터 떨어져 있는 존재가 아니다”라는 따뜻한 메시지를 전하고자 마련됐다. 이계설 회장은 “경제적인 후원도 중요하지만, 우리 협회는 교통 장애인분들이 사회와의 연결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돕는 데 더 큰 의미를 둔다”며 “작은 식사 한 그릇이지만, 그것이 단절이 아닌 연대의 상징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협회는 평소에도 지속적인 생필품 후원과 교통약자를 위한 캠페인, 안전교육 등을 통해 교통 장애인의 권익 보호와 인식 개선에 힘쓰고 있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류○○(56)씨는 “교통사고 이후 외부 활동이 줄어들면서 사람들과의 교류도 많이 끊겼다”며, “이렇게 따뜻하게 맞아주고, 함께 식사를 나눌 수 있어 정말 오랜만에 사람다운 기분이 들었다”고 말했다. 대한교통장애인사랑나눔협회는 앞으로도 지역 사회 내에서 소외된 이웃들과의 연대를 강화하고,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