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정치

영등포구의회 신흥식 의원, 제249회 정례회 제2차 본회의 구정질문

“여의도 브라이튼 도서관 원안대로 추진해야”

  • 등록 2023.12.14 12:12:57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영등포구의회 신흥식 의원(더불어민주당, 여의동‧신길1동)은 13일 오전 구의회 제249회 2023년도 제2차 정례회 제2차 본회의에서 최호권 구청장을 상대로 여의도 브라이튼 도서관 건립문제와 관련해 1문1답을 통한 구정질문을 실시했다.

신흥식 의원은 구정질문에 앞서 “여의도 브라이튼도서관이 원안대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민심은 매우 강력하다”며 “오늘 이 자리에서 구청장께 브라이튼 도서관에 대해 묻고자 한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신 의원은 먼저 “2021년 기본계획 수립 이후 공공건축심의와 설계 공모 및 용역을 거쳐 정상적으로 일정이 진행됐다면 2023년 12월 현재 영등포구 여의동 31번지 지하 1층에는 대형 도서관이 자리 잡고 있었을 것”이라며 “현 구청장 취임 이후 2022년 8월 설계 용역이 갑자기 중단됐다.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질의했다.

 

최 구청장은 “동의하기는 어렵다. 준비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렸을 것”이라며 “중앙투자심사 당시 구민 모두가 이용하는 운영 활성화 방안과 시설 운영비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조건부 통과가 이뤄졌다. 지금 그 조건을 이해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이용 대상에 따라서 거기에 맞게 설계를 해야 되지 않겠는가? 그게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복투자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답했다.

 

 

신 의원은 “2023년 정부 예산의 국립중앙도서관 분관 관련 타당성 용역과 관련해 영등포구 관련 내용이 포함돼 진행된 부분이 있다고 들었는데 사실인가?”며 “영등포구청은 운영 주체를 국립 또는 시립으로 전환하기 위해 설계 용역을 중단했지만 전혀 소득이 없었다. 브라이튼 도서관을 국·시립도서관으로 전환하기 위한 용역을 멈춘 것이 아니라 시간 끌기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 마치 도서관을 조성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된 수단으로 밖에 생각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최 구청장은 “지금 말씀하신 국립중앙도서관 분관 타당성 조사 예산은 우리와 전혀 관련이 없다. 영등포구와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논의했던 것은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운영과 관련된 것이다. 문화관광위원회에 해당 예산 37억 원을 통과시켰던 것이고, 그 가운데 운영 계획 연구 용역비 2억이 포함돼 있었을 뿐”이라며 “지난해 국립도서관 유치 과정에서 37억 원이 국회 문화관광위원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반영했지만, 최종적으로 예결위에 반영되지 못해 아쉬웠다. 당시 지역구 국회의원이신 김민석 국회의원님이 많이 도와주었더라면 정말 좋았겠다는 생각이 든다. 제가 담당 부서장을 몇 번이나 의원실에 보냈다. 그게 다 운영비 때문"이라고 답했다. 

 

계속해서 “전임 청장 때부터도 운영비에 대해 관련해 고민해왔다”며 “중앙투자심사의 조건인 모든 계층이 이용할 수 있는 이용 활성화 방안 마련과 운영비 최소화 방안 마련을 위해 지난해 하반기에 국립도서관 유치를 위해 노력했지만 무산이 됐고, 올해 봄에는 서울시립도서관 유치를 위해 노력했지만 서울시도 운영비 때문에 어렵다는 입장이다. 전임자 흔적 지우기가 절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에 신 의원은 “운영비 마련을 위해 공유사무실 등 임대사업 추진, 전경련 기적의 도서관 추진, 공무원 파견을 통한 인력비용 감축 등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지적한 뒤 “구는 운영비가 부담되어 국·시립 전환을 시도했지만 성공하지 못했고, 그다음에 선택한 것이 동 주민센터 끼워넣기이다. 여의동 주민센터 450평, 문화체육시설 300평, 도서관 300평이라는 1차 변경안에 이어 주민센터 450평, 도서관 600평, 문화체육시설 200평이라는 2차 변경안을 9월에 내놓았지만 주민들의 민심을 잠재우지 못했다”며 “지역 주민들이 원하는 것은 기부채납치 전체를 대형도서관으로 조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구청장은 “여의동 주민센터를 브라이튼도서관 기부채납지로 이전한다고 확정된 것은 없다. 지금 현재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며 “계속 말씀드리지만 중앙투자심사 조건인 모든 계층의 이용 활성화 방안 마련과 운영비 최소화 방안 마련를 위해 많이 고민하고 노력하고 있다”고 답했다.

 

 

신흥식 의원은 마지막으로 “부디 구청장께서는 무리한 동 주민센터 끼워넣기는 이제 포기하고, 무엇이 주민들을 위한 행정인지 다시 한 번 생각해 주시기 바란다”며 “주민 공개 토론회를 열어 주민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존중해 브라이튼 여의도 도서관을 원안대로 추진해달라”며 구정질문을 마무리했다.

"전세대출 안받으면 1억 낮춰줘"... 대출 규제에 전세시장도 냉랭

[영등포신문=이천용 기자] "새 아파트 입주가 시작됐는데 이번 대출 규제로 날벼락을 맞은 격이에요. 소유권 이전 조건부 전세대출이 막히다보니 집주인의 잔금 마련에 차질이 생기고, 전세도 잘 안 나갑니다. 전세자금대출을 받지 않는 임차인이 귀하신 몸이 됐어요." 지난달 말부터 입주가 시작된 서울 서초구 잠원동 '메이플자이' 얘기다. 총가구 수가 3천307가구에 달하는 이 아파트는 입주와 동시에 초고강도 대출 규제를 맞으며 어수선한 분위기다. 지난달 28일 이후 체결되는 전세 계약은 임차인이 전세자금대출을 받는 경우, 그 보증금으로 집주인의 분양 또는 매매 잔금 납부가 금지되면서 자금 마련에 비상이 걸린 것이다. 서초구는 현재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여 있지만 부동산거래신고법 시행령상 신규 분양 아파트는 거래 허가 대상이 아니다. 이에 따라 새 아파트 분양 계약자는 토허구역 내에서 자신이 입주하지 않고 바로 전세를 놓을 수 있다. 다만 분양가상한제 주택의 실거주 의무가 3년 유예된 상태여서 3년 이내에 분양 계약자가 실거주를 해야 한다. 잠원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집주인이 바로 입주하지 않고 내놓은 전세 물건은 보증금을 받아 분양 잔금을 납부하려는 것들이 대부분"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