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7.27 (토)

  • 구름많음동두천 28.1℃
  • 흐림강릉 28.2℃
  • 구름많음서울 28.7℃
  • 흐림대전 28.6℃
  • 흐림대구 28.5℃
  • 구름조금울산 29.1℃
  • 흐림광주 27.0℃
  • 흐림부산 28.3℃
  • 구름많음고창 27.9℃
  • 제주 28.1℃
  • 흐림강화 28.0℃
  • 구름많음보은 27.1℃
  • 구름많음금산 26.9℃
  • 흐림강진군 28.5℃
  • 구름많음경주시 28.8℃
  • 구름많음거제 27.3℃
기상청 제공

종합

농가 ‘100만 가구’ 밑으로 떨어져… 2명 중 1명은 고령층

  • 등록 2024.04.18 14:01:23

 

[영등포신문=신민수 기자] 우리나라 농가 수가 지난해 ‘100만 가구’ 밑으로 떨어졌다. 농민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층 비율은 처음으로 절반을 넘겼고, 어가·임가에서도 고령화 추세가 계속됐다.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농림어업조사’에 따르면 작년 12월 1일 현재 우리나라 농가는 99만9천 가구로 나타났다. 고령에 따른 농업 포기, 전업(轉業) 등으로 전년보다 2만4천 가구(2.3%) 감소했다.

 

농업조사가 시작된 1949년 이래 처음 100만 가구를 하회했다. 다만 통계청은 총조사가 아닌 표본 농가(4만7천725가구)로 추정한 값이라 약 ±1만 가구 오차범위가 있다고 설명했다.

 

농가 인구는 208만9천 명으로 전년보다 7만7천 명(3.5%) 줄었다. 연령별로 70세 이상이 76만7천 명으로 전체 농가 인구의 36.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60대(64만 명), 50대(31만2천 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농가의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은 52.6%로 전년보다 2.8%p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우리나라 전체 고령인구 비율이 18.2%인 것을 고려하면 농가의 고령화가 두드러진다.

 

가구원 수를 보면 2인 가구가 전체 농가의 57.5%로 가장 많았다. 1인 가구도 22만6천 가구로 22.6%를 차지했다. 농가 5집 중 1집은 1인 가구인 셈이다.

 

농축산물 판매 금액이 1천만 원 미만인 농가는 전체의 64.5%였다. 1억 원 이상인 농가는 4.2%에 그쳤다.

 

과수재배 농가에서 과수별로 떫은감이 전체 농가의 4.9%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이어 사과(3.9%), 복숭아(3.6%), 단감(3.5%) 순이었다. 전년보다 단감 재배 농가는 1천500가구 증가한 반면 사과(-2천500가구), 배(-700가구) 등 나머지는 감소했다.

 

 

지난해 어가는 4만2천 가구, 어가 인구는 8만7천 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어가는 800가구(1.8%) 감소했고 어가 인구는 3,700명(4.1%) 줄었다.

 

 

어가 고령인구 비율은 48.0%로 전년보다 3.7%p 증가했다. 수산물 판매 금액이 1천만 원 미만인 어가는 1만6,500가구로 전체 어가의 39.4%를 차지했다. 1억 원 이상은 6,300가구(15.1%)였다.

 

육림업, 벌목업 등 임업 가구나 나물·버섯 등을 재배하는 재배 가구 등을 일컫는 임가는 9만9천 가구, 임가 인구는 20만4천 명으로 나타났다.

 

직전 해보다 임가는 1,400가구(1.4%), 임가 인구는 5,800명(2.7%) 줄었다. 임가 고령인구 비율도 52.8%로 전년보다 4.0%p 늘었다.

쓰레기 투기에 멍드는 서울 관광지..."어느 게 재활용이죠?"

[영등포신문=나재희 기자] "어느 것이 재활용 쓰레기통이죠? 한글을 읽을 줄 모르니 도저히 구분할 수가 없네요." 최근 외국인 관광 '핫플레이스'가 된 서울 종로구 광장시장에서 지난 22일 만난 호주 관광객 빈 핸더슨(46)씨는 먹다 남은 호떡을 한 손에 든 채 난감해했다. 그의 앞에는 구청이 설치한 2개의 쓰레기봉투가 놓여 있었다. 왼편에는 '일반쓰레기', 오른편에는 '재활용품'이라고 적혀 있지만 봉투 안을 들여다보면 양쪽 모두 플라스틱 컵과 빨대, 종이컵, 꼬치, 휴지가 뒤섞여 구분이 무색했다. 핸더슨씨는 "2개로 구분돼 있으니 하나는 재활용 봉투로 짐작되지만 정확히 알 수는 없다"며 "아들도 나처럼 헷갈려 하더라"고 했다. 광장시장 다른 곳에 있는 쓰레기통도 마찬가지였다. 음식물이 남은 일회용 컵이 일반쓰레기와 재활용품 쓰레기봉투 모두에 들어차 있었다. 분리수거에만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다. 시장 곳곳에 관광객이 버린 크고 작은 쓰레기가 나뒹굴었다. 이처럼 서울의 대표적 관광명소들이 무분별한 쓰레기 투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쇼핑 명소인 중구 명동도 영업이 끝난 밤에는 쓰레기 더미를 쉽게 찾아볼 수 있다. 26일 새벽 방문한 지하쇼핑센터 입구에는 '쓰레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