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8 (목)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종합

"무신론자 아빠가 천국 갔을까요?"…교황 답변 모국서 재조명

"하느님, 착한 사람 외면안해"…아르헨티나 신자들, 쾌유 기원

  • 등록 2025.03.09 08:58:07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프란치스코 교황의 모국인 아르헨티나의 가톨릭 신자들이 폐렴 진단을 받고 입원 치료 중인 교황의 쾌유를 기원하며 그의 '따뜻한 품성'을 엿볼 수 있는 모습을 온라인에 적극적으로 공유해 눈길을 끈다.

8일(현지시간) 아르헨티나 사회관계망서비스에는 2018년 이탈리아의 한 성당 뒤뜰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한 어린 소년의 질문을 받는 모습을 담은 동영상이 급속히 공유됐다.

이 영상 속에 나오는 에마누엘레라는 이름의 어린이는 마이크 앞에 서서 교황에게 뭔가 질의하려다 이내 말문을 열지 못하고 얼굴을 감싸고 서럽게 울기 시작했다.

교황은 울고 있는 에마누엘레를 껴안으며 다독였고, 어린이는 이내 귓속말로 교황에게 뭔가를 이야기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에마누엘레에게 동의받고 그의 질문을 대중 앞에 공개했다.

에마누엘레는 "우리 아빠는 착한 사람이었고 저를 비롯한 (자녀) 4명에게 세례를 받게 해주셨습니다"며 "(정작) 아빠는 하느님을 믿지 않고 얼마 전에 돌아가셨는데, 아빠가 천국에 갔을까요?"라고 물었다고 한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이에 "아들이 아버지를 좋은 사람이었다고 말하는 것은 정말 아름다운 일"이라고 운을 뗀 뒤 "하느님이 착한 사람을 저버릴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하느님이 자기 자녀들을 버리실 분입니까?"라고 청중에게 되물었다.

교황은 이어 에마누엘레에게 "바로 이게 하느님의 답"이라면서 "하느님은 아버지를 자랑스럽게 생각하셨을 것이고, 무신론자임에도 4명의 자녀에게 모두 세례를 받게 했으니 하느님은 기뻐하셨을 것"이라고 말했다.

7년 전에 촬영된 이 장면은 현재 아르헨티나 주요 온라인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교황의 에피소드' 중 하나다.

 

최근 아르헨티나 현지에서는 프란치스코 교황과 관련한 다양한 콘텐츠가 여러 사이트에서 활발하게 제작되고 있다.

교황의 건강 회복을 바라는 기도회와 종교 행사 역시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첫 남미 출신이자 아르헨티나 출신 교황인 프란치스코 교황은 지난달 14일부터 폐렴으로 로마 제멜리 병원에 입원 중이다.

 

영등포구, “은빛 손길로 수리 뚝딱… 어르신 재능 활약”

[영등포신문=변윤수 기자] 영등포구가 칼갈이 등 어르신의 재능을 활용하여 일자리를 창출하고, 주민에게는 생활밀착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리뚝딱 영가이버’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수리뚝딱 영가이버’는 65세 이상 어르신이 주민센터를 순회하며 칼갈이, 우산 수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르신 일자리 사업이다. 취업이 어려운 취약계층 어르신에게는 안정적인 일자리를, 주민에게는 실생활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재 18명의 어르신이 영가이버로 활동한다. 전동 연마기와 숫돌을 사용해 무뎌진 칼과 가위를 날카롭게 갈고, 살이 빠지거나 펴지지 않는 우산은 부품을 교체해 새 우산으로 재탄생시킨다. 수선이 어려운 우산은 부품을 분리해 다른 우산 수리에 활용한다. 어르신은 영가이버 활동으로 신체 활동과 사회적 교류의 기회를 얻고, ‘도움을 받는 어르신’에서 지역사회에 ‘도움을 주는 어르신’이 되면서 자긍심과 삶의 활력을 회복한다. ‘수리뚝딱 영가이버’는 11월까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3시까지 운영된다. 세부 일정은 구 누리집을 참고하면 된다. 아울러 구는 ‘찾아가는 자전거 수리’도 운영한다. 자활근로자가 5월 9일부터 23일까지, 주민센터를 순회하며 오래되고 방치된 자전




가장많이 본기사

더보기